세계보건기구(WHO)는 9일(현지시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위협이 "매우 현실화했다"고 우려했다.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WHO 사무총장은 이날 스위스 제네바 WHO 본부에서 열린 언론 브리핑에서 "주말 사이 코로나19 사례가 100개 나라에서 10만 건이 넘었다"며 "이제 코로나19가 많은 나라에서 발판을 두고 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많은 사람과 국가가 그렇게 빨리 피해를 봤다는 것은 분명 괴로운 일"이라면서도 "그러나 그것은 역사상 처음으로 통제될 수 있는 첫 팬데믹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우리는 이 바이러스에 좌우되지 않는다. 우리가 가진 훌륭한 장점은 정부, 기업, 지역사회, 가족, 개인으로서 우리 모두가 내린 결정이 이 전염병의 궤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이라며 "결단력 있는 조기 행동으로 바이러스를 둔화시키고 감염을 막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결정적이고 조기 대처로 코로나19를 늦추고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중국에서 보고된 8만 명의 확진자 가운데 70% 이상이 회복돼 퇴원했다"며 "총 사례 수와 국가 수는 전체 내용을 말해주지 않는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 현재까지 전 세계적으로 보고된 사례의 93%가 단지 4개국(중국, 한국, 이탈리아, 이란)에서 나왔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것은 억제(containment)냐 완화(mitigation)냐로 보는 잘못된 이분법에 관한 것이 아니고 둘 모두에 관한 것"이라면서 "모든 국가는 코로나19를 통제하고 억제하기 위한 종합적인 전략을 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거브러여수스 총장은 "중국, 이탈리아, 일본, 한국, 미국과 다른 많은 곳들이 긴급 조치를 활성화했다"며 지역사회 전염이 확산한 국가에서는 상황에 따라 휴교나 대규모 집회 취소 등의 조처를 취할 것을 제안했다.
그러면서 이 같은 조처가 효과가 있다는 점을 싱가포르와 한국 등이 보여줬다고 제시했다.
특히 한국의 경우 '드라이브 스루' 진료소를 도입하는 등 '그물망'을 넓게 펼쳐 코로나19 환자와 접촉자를 찾으려고 노력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가장 많은 확진자를 보고한 4개국 가운데 "중국은 전염병을 통제하고 있으며, 한국은 신규 확진자 수의 감소를 보고하고 있다"면서 "두 국가는 코로나19의 흐름을 돌리는 것이 절대로 늦지 않았다는 점을 증명하고 있다"고 말했다.
테워드로스 사무총장은 "게임의 규칙은 절대 포기하지 말라는 것"이라면서 "그것은 공격적인 조처를 가능한 한 빨리할 때 성취할 수 있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이탈리아가 전염병을 막으려고 공격적인 조처를 하고 있다는 데 고무돼 있다"며 "그 조처가 향후 며칠 안에 효과를 보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