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매도시 베트남 칸호아성에 수해 복구 긴급 구호금 지원
울산시는 최근 기록적인 홍수로 막대한 피해를 입은 베트남 자매도시 칸호아성의 이재민들을 돕기 위해 긴급 구호금 2,000만 원을 지원한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지원 결정은 2002년 자매도시 협약을 체결한 이후 지속적인 교류를 이어온 칸호아성이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을 외면할 수 없다는 판단에 따라 신속하게 결정됐다. 울산시가...
▲ [이미지 = 삼성전자 순매매 거래량]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국내 첫 확진자가 발생한 이후 약 두 달 만에 주요 100개 상장사 시가총액의 3분의 1이 증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분석 전문 한국CXO연구소(소장 오일선)는 국내 20개 업종별 매출 상위 5개 상장사를 대상으로 1월 20일과 3월 20일 주가를 비교 분석한 결과 이같이 조사됐다고 23일 밝혔다.
조사 대상 100개 상장사 시가총액은 지난 20일 기준 629조원으로, 국내에서 확진자가 처음 나온 1월 20일 859조원보다 226조원 감소했다. 60일 만에 회사 가치가 29.7% 쪼그라든 셈이다.
특히 지난 12일 세계보건기구(WHO)가 팬데믹을 선언한 이후 8일간은 시가총액이 12.7% 줄어들어 이달 말에는 600조원을 밑돌 가능성도 제기됐다.
업종별로는 삼성전자[005930], SK하이닉스[000660] 등 5개 전자 기업 시가총액이 60일 사이 126조원 넘게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같은 기간 자동차는 27조원, 금융 19조원, 석유화학 16조원, 정보통신 15조원, 금속철강 13조원, 조선 10조원씩 각각 감소해 총 7개 업종에서 주식 가치가 10조원 넘게 사라졌다.
60일간 주가 역시 20개 업종 모두에서 하향 곡선을 그렸다.
그중 7개 업종의 주가는 평균 40% 넘게 하락했고, 특히 조선·중공업 기업의 주가는 48.6% 크게 떨어졌다. 이어 여행(-43.7%), 자동차(-43.6%), 기계(-43.5%), 금융(-43%), 건설(-42%), 항공해운(-42%) 순으로 하락 폭이 컸다.
현대건설기계[267270](-60.2%)를 비롯한 15개 기업은 60일 사이 주가가 반 토막 났다. 롯데하이마트[071840](-57.2%), 현대제철[004020](-55.1%), 삼성생명[032830](-54%) 등도 맥없이 무너졌다.
오일선 소장은 "완치자가 치료 중인 환자 수를 역전하기 시작할 것으로 예상되는 3월 말에서 4월 초를 기점으로 주가는 내리막에서 증가세로 돌아서는 새로운 분기점을 맞이할 수도 있다"며 "2주 이내 돌발 변수가 나타나지 않을 때만 가능한 경우"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