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급격한 확산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면서도 미국의 지원을 거절한 이란이 한국에는 도움을 요청했다. 하산 로하니 이란 대통령이 문재인 대통령에게 진단키트 등 지원을 요청하는 서한을 보낸 것. 한국 정부도 이란에 대한 인도적 지원을 고심하고 있다.
외교부 당국자는 23일 “외교 관례상 정상 간 서한은 확인하기 어렵다”면서도 “이란은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심각한 보건 위기 상황을 여러 경로를 통해 알려왔고, 정부는 인도적 지원 방안을 다각적으로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이란은 지금까지 코로나19 확진자만 2만1천명이 넘고, 사망자도 1600명 이상이다. 이에 국제 사회에 의료지원을 요청했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22일 이란과 북한에 코로나19 지원을 제안했다.
하지만 현재 이란의 절박한 상황에 미국의 제재가 영향을 미친 점, 양국 관계가 악화된 점 등으로 이란은 미국의 지원을 공식적으로 거부했다. 대신 한국에 인도적 의료지원을 요청한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우선 이란에 코로나19 관련 의료용품 등을 지원하는 방안을 준비하고 있다. 외교부 당국자는 “국내 수급에 지장이 없는 품목을 중심으로 되도록 빨리 지원하려 하고 있다”고 말했다.
더 중요한 것은 미국의 제재 때문에 한국 금융기관들의 원화 계좌에 묶여 있는 이란의 석유 수출 대금을 활용해 이란과 의약품·의료장비 등 인도적 물품 교역을 조속히 재개하는 것이다. 한국 금융기관들에는 이란이 한국에 수출한 원유 대금 약 7조원이 묶여 있는데, 미국의 제재 때문에 전달하지 못해 이란 정부가 계속 항의하고 있다.
한국 금융기관들은 미국 정부의 확실한 보장 없이는 이란에 돈을 보내기 어렵다는 태도를 굽히지 않고 있다.
외교부 고위 당국자는 “스위스 방식을 참고해 유사한 제도를 확립해 인도적 지원을 하는 방향을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스위스 방식’은 미국 재무부가 이란과의 거래가 제재 위반이 아님을 보장하는 대신 은행과 기업은 상세한 거래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인데, 스위스는 지난 1월 이를 통해 255만달러어치의 약품을 이란과 거래했다. 한국도 이런 방식으로 이란과 인도적 물품 거래를 재개하기 위해 미국 정부와 협의 중이다.
외교부 당국자는 “이란과의 인도적 교역에 대한 제재 예외 인정을 보장 받을 세가지 방안을 가지고 미국 정부와 구체적 논의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지원이 이루어지면 미국의 제재로 중단된 한-이란 인도적 교역이 재개돼, 악화된 양국 관계에도 돌파구가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