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가 전세계를 휩쓸며 세계 각국이 코로나19 방역 대원칙으로 '봉쇄', '사회적 거리두기', '신속 진단검사'를 시행하고 있는 가운데, 스웨덴과 벨라루스만 느긋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스웨덴은 확진자와 사망자가 각각 4000명·100명을 넘어선 상황이지만, 자국민 이동권 제한이나 사회적 거리두기 등을 배제하고 '집단 면역'을 추진키로 했다.
백신이나 치료제 상용화에 상당기간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감염 취약계층을 선별 격리한 뒤 건강한 국민 사이에서 바이러스가 천천히 퍼지게 해 대다수 국민이 면역력을 갖도록 하겠다는 취지다.
집단 면역이란 백신 접종이나 감염을 통해 집단 내 일정 비율 이상이 면역력을 갖게 될 경우 집단 전체가 질병에 저항성을 갖게 되는 것을 뜻한다.
실제로 스웨덴은 평소처럼 사람들이 거리를 다니며 쇼핑을 하거나 야외에서 밥을 먹고, 등교와 출근을 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스테판 뢰벤 스웨덴 총리는 50명 이상이 모이는 곳은 가지 말 것을 권고했지만, 영국이나 프랑스 혹은 인접 국가인 덴마크와 노르웨이처럼 노동자들의 일터까지 완전히 구속할 필요는 없다고 주장했다.
스웨덴의 이같은 '집단 면역' 방식은 코로나19의 확산세가 단기간에 꺾이지 않을 것이며, 세계 각국의 주요 방역정책들이 지속가능하지 않다고 본 결과다. 국경 폐쇄, 야외활동 금지 등의 봉쇄 정책을 통해 일시적 효과를 거둘 순 있지만, 해외 유입원 등을 영구적으로 차단하기 어려운 만큼 집단 면역만이 유일한 해결책이 될 수 있다는 주장이다.
다만 이 같은 정책이 되레 피해를 키울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미 세계 각국에서 코로나19의 높은 전파력이 증명된 상황에서 세계 방역망의 구멍이 될 수 있다는 관측이다.
더 타임즈도 스웨덴 정부가 경기침체를 피하기 위해 야외 식당과 피트니스 센터 등을 여전히 허용하고 있다며 스웨덴의 안일한 태도를 보도했다.
아울러 덴마크 언론도 “스웨덴 정부가 정말 코로나19를 진지하게 받아들이는지 의심스럽다”라며 비판 기사를 내보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