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21대 총선을 9일 남겨둔 어제(6일)부터 투표용지 인쇄가 전국적으로 시작됐다. 비례 위성정당과 신당들이 난립한 이번 총선 판세의 최대 변수 중 하나로 꼽혀온 후보 단일화를 위해 여야 모두 공을 들였지만 끝내 무산됐다.
7일 정치권에 따르면 '민주 진영'인 더블어민주당과 정의당의 후보단일화가 거론되던 경남 창원 성산을과 인천 연수을, 서울 동대문을 중 어느 곳에서도 단일화를 이뤄내지 못했다.
민주당 계열의 비례대표 정당이 연달아 출범한 뒤로는 중앙당 차원의 대화조차 단절됐다. 사실상 '독자생존'의 길로 접어든 셈이다.
야당도 후보 단일화에 난항을 겪고 있는 것은 마찬가지다.
서울 구로을에서는 미래통합당과 탈당파 무소속 후보간 협상이 단일화 목전까지 갔다가 결국 결렬됐다. 서울 영등포을과 인천 동미추홀을도 후보들의 완주 의지가 강해 단일확 쉽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추후 단일화가 되더라도 효과는 크게 반감될 것으로 보인다. 투표 용지에 인쇄가 시작된 이후 단일화하더라도 용지에는 사퇴한 후보의 이름이 그대로 찍혀나오니 유권자에게 혼란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