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대한 대응 전략으로 '봉쇄'와 '사회적 거리두기' 대신 '집단 면역'을 택해 주목받았던 스웨덴이 확진자 폭증에 정책 전환을 고려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독일 도이치베레에 따르면 스웨덴 정부가 최근 수도 스톨홀름 등에서 감염자와 사망자가 크게 늘자 이동 제한과 공공생활 규제 등을 고려 중이라고 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도이치벨레는 이날 ‘스웨덴 정부가 코로나19 정책에 유턴을 검토하고 있다’는 제목의 기사에서 이같은 내용을 전했다. 그동안의 '느슨한 거리두기', '집단 면역' 실험에서 강력한 봉쇄 쪽으로 전환하는 모양새다.
앞서 스웨덴 정부는 직장인들의 재택 근무와 고령자의 자가 격리를 독려하고 50명이 넘는 모임을 금지하는 등 일부 봉쇄 정책을 취했지만, 학교나 식당 운동장 등 공공시설의 문을 닫지는 않았다. 스테판 뢰벤 스웨덴 총리는 지난달 22일 “지역 소비를 위해 가까운 식당에서 점심을 먹으라”고도 했다.
이런 스웨덴의 정책은 코로나19의 확산세가 장기간 이어질 경우 강력한 방역 조치가 어려울 것이라는 당국의 의견과 백신이 나오기 전까지는 '집단 면역'을 높이는 것만이 코로나를 이기는 방법이라는 스웨덴 보건 전문가들의 신념에서 기인한 것이었다.
'집단 면역'은 백신이나 감염으로 한 집단 중 일정 비율 이상이 면역력을 갖게 되면, 집단 전체가 그 질병에 대한 저항성을 보유하게 된다는 의미다.
하지만 정부의 예상과는 달리 스웨덴의 전체 신종 코로나 감염자수는 지난 달 4일 52명에서 이달 4일 6443명으로 120배 넘게 늘어나는 등 상황이 악화되자 정책 전환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게 됐다.
사망자도 지난달 10일 처음 발생한 후 373명까지 늘어났다. 스톡홀름에서는 집단 감염이 나타나기도 했다.
이런 상황 속에서 지난달 말 2300여명의 스웨덴 학자는 정부에 의료 시스템 보호를 위해 좀 더 강력한 조치를 요구하는 공개서한을 보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