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하루 한 자리 수까지 줄어들며 정부는 오늘(20일)부터 다음달 5일까지 종전보다 완화된 형태의 '사회적 거리두기'를 이어가기로 했다. 이와 관련해 코로나19가 다시 확산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정세균 총리는 19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에서 “내일(20일)부터 5월5일까지는 지금의 사회적 거리두기의 근간을 유지하며 일부 제한을 완화하겠다”며 “방역 측면에서는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를 지속하는 것이 가장 안전하지만 현실적으로 쉽지 않아 절충점을 찾아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현재 수준의 안정적 관리가 계속 이뤄진다면 5월6일부터는 ‘생활 속 거리두기’로 이행하겠다”고 덧붙였다.
이에 따라 정부는 우선 고강도 거리두기의 핵심이었던 종교시설과 일부 실내체육시설·유흥시설 등 4대 집단시설에 대해 기존 행정명령을 유지하되, 그 내용을 '운영 중단'에서 '운영 자제'로 낮췄다.
다만, 정부의 이같은 결정에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당장 부처님오신날(4월30일)부터 어린이날(5월5일)까지 이른바 ‘황금연휴’가 이어지는 만큼, 느슨해진 사회적 거리두기로 다시금 코로나19가 재확산될 수 있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거리두기를 완화했다가 환자가 다시 폭증한 싱가포르 사례 등을 들며 안심하긴 이르다고 봤다.
이재갑 한림대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고강도로 사회적 거리두기를 했을 때도 잘 지켜지지 않아 강제력을 발휘했던 곳들은 계속 정부가 주시해야 한다”며 “완화된 거리두기가 ‘이제는 괜찮다’는 잘못된 신호로 받아들여지면 곤란하다”고 지적했다.
엄중식 가천대 길병원 감염내과 교수도 "완화된 거리두기는 실내에서 공간확보나 손위생, 마스크 착용 등이 전제돼야 한다"며 "지금까지 불편과 손해를 감수하고 거리두기를 지킨 것처럼 집단시설을 이용할 때는 방역지침을 준수하는 시민의식이 유지돼야 재확산을 막을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