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에서 발생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망자의 절반은 요양원과 연관된 것으로 추정됨에도 각국 정부는 크게 신경 쓰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실제로 유럽 국가들은 매일 쏟아져 나오는 확진환자와 사망자에 병원을 통제하는 것만으로도 벅차 병원 밖에서 발생한 코로나19 사망자는 검사조차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세계보건기구(WHO) 유럽 담당 국장 한스 클루게는 23일(현지시간) "유럽 지역 국가들의 추산에 따르면 코로나19 사망자 절반이 장기 요양 시설에서 나왔다"며 "상상할 수 없는 인간의 비극"이라고 말했다.
코로나19가 유럽 대륙을 휩쓴 이후 고령이거나 기저 질환을 앓고 있어 바이러스에 가장 취약한 이들이 모여있는 곳이 장기 요양 시설임에도 상대적으로 방치되고 있다는 것이다.
스페인 수도 마드리드의 한 요양원에서는 지난달 수십 명이 침대 위에서 숨진 채 발견됐고, 이탈리아 밀라노의 한 요양원에서도 최근 한 달 사이 110명이 사망하는 일이 벌어져 당국이 수사에 착수했다.
영국의 보건장관인 맷 행콕은 22일 의회에 코로나19 사망자의 20%가 요양원에서 나왔을 수 있다고 보고했으나, 영국 내 일부 전문가들은 그 비율이 40%에 달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벨기에는 의심 환자까지 포함해 코로나19 사망자 통계를 집계하고 있는데 전체 사망자 6천450명 가운데 절반 이상이 장기 요양 시설에서 나왔다.
독일에서도 사망한 코로나19 환자 5천여 명 중 3분의 1가량이 요양 시설에서 나왔다고 한국의 질병관리본부 격인 로베르트코흐연구소(RKI)가 밝힌 바 있다.
클루게 국장은 이날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개최한 기자회견에서 코로나19의 세계적 대유행이 그간 우리가 간과해왔던 구석까지 조명을 비췄다며 이제는 각국 정부가 장기 요양 시설에도 관심을 쏟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클루게 국장은 의료진에 우선하여 개인 보호 장비를 공급하고 있듯이 요양원 직원들에게도 충분한 장비를 제공해야 하며, 입소자를 어떻게 다뤄야 하는지 등을 교육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코로나19 확산을 막겠다며 각국 정부가 장기 요양 시설에 가족, 친지 등 지인의 방문을 금지한 취지에는 공감하지만, 이러한 조치는 입소자들에게 정신적으로 더 큰 부담을 안길 수 있다고 환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