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누적 사망자가 이탈리아를 넘어서며 미국에 이어 세계 2위로 올라섰다.
영국 보건부는 지난 4일(현지시간) 오후 5시 기준 영국의 코로나19 사망자는 2만9천427명으로 집계됐다고 5일 발표했다. 전날과 비교해 693명 늘어난 숫자다.
이탈리아의 코로나19 사망자가 이날 오후 6시 기준으로 전날 대비 41명 늘어난 2만9천315명으로 집계되면서 영국의 사망자수가 이탈리아를 추월했다.
영국 보건부 발표가 아닌 통계청 기준에 따르면 두 나라의 사망자 격차는 더욱 벌어진다. 영국 ITV 보도에 따르면, 지난 2일까지 통계청 기준 영국의 누적 코로나19 사망자는 3만2375명으로 집계됐다.
통계청과 보건부가 매발표하는 공식 사망자 대비 3천명가량 차이나는 데 이는 집계 기준이 다르기 때문이다.
당초 영국 정부는 병원 내 코로나19 사망자만 발표하다가 지난달 28일부터는 요양원과 호스피스 등 지역사회 사망자를 합계해 내놓고 있다. 다만 보건부는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은 사망자만 집계해 발표한다.
반면, 통계청은 사망진단서에 코로나19가 기재된 이는 모두 코로나19 사망자로 분류한다. 이들 중에는 코로나19 확진자 외에도 코로나19로 목숨을 잃은 것으로 의심되는 경우도 들어간다.
통계청 기준 또는 보건부 기준 무엇을 적용하더라도 영국의 코로나19 공식 사망자가 유럽에서 가장 많은 것은 확실하다.
다만 각국의 사망자 집계 기준이 다른 만큼 지금 당장 일괄적인 비교는 의미가 없다는 것이 영국 정부의 해명이다.
이날 코로나19 정례 기자회견에 나선 도미닉 라브 영국 외무장관은 영국이 유럽에서 가장 많은 코로나19 사망자를 기록한 것과 관련해 국제적 비교는 고려할 가치가 없다고 일축했다.
라브 장관은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이 끝나고, 모든 사망 원인에 대한 포괄적인 국제적 데이터를 얻을 때까지 어느 국가가 잘 대응했는지 진정한 판결을 내릴 수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는 모든 장소에서 발생한 전체 사망자를 다 포함해 공표하지만 다른 나라들도 그렇게 하지는 않는다"면서 "모든 국가가 동일한 방식으로 측정하고 있다는 것을 신뢰하기 전까지는 국제적 비교 작업이 가능한지 확신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