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을 성공적으로 억제했다고 평가받고 있는 독일에서 다시금 확진자가 급증하고 있다. 이같은 확산세는 최근 공공생활 제한 조치를 완화한 이후 양로원을 중심으로 발생하고 있어 코로나19가 재확산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11일 AP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코로나19 대유행을 막을 관리체계를 구축한 것으로 평가되는 독일에서는 최근 공공생활 제한 조치가 완화된 이후 도축장과 양로원을 중심으로 다시 확진자가 급증했다.
이와 관련해 우리나라의 질병관리본부 격인 독일 로베르트코흐연구소(RKI)는 정부의 공공생활 제한조치의 완화 이후 코로나19 재생산지수가 1.1로 올라갔다고 발표했다.
재생산지수는 감염자 1명이 타인에게 얼마나 바이러스를 옮길 수 있는지를 나타낸다. 독일에서는 지난 6일에만 해도 재생산지수는 0.65까지 줄어들었다.
그러나 도시 곳곳에서 시민 수천 명이 모여 봉쇄령에 반대하는 시위를 벌이는 등 반발이 거세지자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와 주지사들은 당과 상점, 호텔 등의 영업을 재개하는 방안을 마련했으며, 정규 축구 리그 및 학교 수업도 재개하기로 했다.
이같은 사회적 거리두기가 완화되자마자 다시 확산세가 급증한 것이다. 실제로 독일에서는 상점이나 대중교통에서 마스크 착용 의무마저도 잘 지켜지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RKI는 코로나19 재확산이라고 단정할 수 없고, 좀 더 관찰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독일이 코로나19 사태 초기에 효과적으로 대응해 이탈리아나 스페인과 같은 극단적으로 참사를 피했으나, 오히려 시민들이 방심한 나머지 엄격한 조치를 따르도록 하는 데 어려움이 생기는 '예방의 역설'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평가했다.
한편, 이날까지 독일의 코로나19 누적 환진자 수는 16만9218명이고 누적 사망자 수는 7396명인 것으로 전해졌다. 신규 확진자 수는 667명, 신규 사망자 수는 26명이다. 지금까지 14만4천400명이 회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