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매도시 베트남 칸호아성에 수해 복구 긴급 구호금 지원
울산시는 최근 기록적인 홍수로 막대한 피해를 입은 베트남 자매도시 칸호아성의 이재민들을 돕기 위해 긴급 구호금 2,000만 원을 지원한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지원 결정은 2002년 자매도시 협약을 체결한 이후 지속적인 교류를 이어온 칸호아성이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을 외면할 수 없다는 판단에 따라 신속하게 결정됐다. 울산시가...
▲ [SHUUD.mn=뉴스21 통신.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과의 '절연'까지 거론하며 대중 공세 수위를 높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14일(현지시간) 폭스비즈니스와 인터뷰에서 중국에 대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이 많다"며 "우리는 관계를 전면 중단할 수도 있다(We could cut off the whole relationship)"라고 말했다.
그는 또 "만약 그렇게 했다면 무슨 일이 일어나겠나"라고 자문한 뒤 "만약 (중국과) 관계를 전면 중단한다면 5천억달러를 절약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중 무역 불균형으로 인해 미국이 매년 수천억 달러 이상 적자를 보고 있다고 지적해 왔다. 그러나 이날 언급한 전면 중단은 그가 한 많은 발언 중 가장 강도가 높았다.
이날 트럼프 대통령은 뉴욕증권거래소(NYSE)와 나스닥(NASDAQ)에 상장됐으나 미국의 회계 규칙을 따르지 않는 중국 기업들에 대해 “열심히 살펴보고 있다”고도 말했다.
이에 대해 대중 압박을 위해 자본시장까지 무기로 동원할 수 있음을 시사한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바이러스가 중국 우한(武漢)의 연구소에서 나왔다는 주장도 되풀이했다.
이어 코로나19 확산과 관련한 미국의 조사 참여를 중국이 거부한 것과 관해서는 “우리는 검토하자고 요청했지만 그들이 ‘노(No)’라고 했다. 그들은 우리 도움을 필요치 않는다”며 “이는 어리석음이거나 무능, 고의였다”고 언급했다.
이같은 발언은 최근 미국 내에서 트럼프 행정부가 코로나19 초기 대응에 실패했다는 비판이 고조되자 이를 중국 탓으로 돌리려는 것으로 풀이된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대화를 해봤느냐는 질문에는 "(시 주석과) 매우 좋은 관계"라면서도 "지금 당장은 그와 대화하고 싶지 않다"라고 답했다.
1단계 무역 합의 이후 완화되는 듯했던 미중 간 긴장 관계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미국 내 대규모 확산 이후 다시 경색 국면으로 치닫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