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재정정책과 통화정책을 각각 이끄는 양대 수장이 19일(현지시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와 관련, 경기 침체의 장기화 가능성을 우려했다. 그러면서 추가적이고 과감한 경기부양 조치에 나서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스티븐 므누신 미국 재무장관과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은 이날 화상으로 진행된 상원 은행위원회 청문회에 출석해 의견을 나눴다. 이들은 미국 경제가 이르면 3~4분기 회복 국면에 들어서기까지 더욱 암울한 지표가 이어질 것이라고 한목소리로 경고했다.
므누신 장관은 "올해 2분기에는 더욱더 높은 실업률과 더 부정적인 지표들을 보게 될 것"이라며 "이것이 바로 사람들을 일터로 되돌아오게 해야 하는 이유"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각 주 정부들이 셧다운을 몇 달 연장한다면 미국 경제는 결코 완전하게 회복할 수 없다. 영구적인 손상이 될 수 있다"면서 "보건 이슈를 고려하면서 안전한 방식으로 경제활동을 재가동하기를 원한다"고 강조했다.
므누신 장관은 올해 3~4분기에는 경제 여건이 나아질 것으로 예상한다며 "이 나라는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으로부터 어느 때보다 강하게 일어설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재무부가 코로나19로 어려움에 빠진 기업들을 지원하기 위해 책정된 5000억 달러 전액을 배정할 준비가 됐다며 "특정 시나리오에서 손실을 감수할 준비까지 완벽하게 돼 있다"고 말했다.
파월 의장은 "이번 경기하강의 범위와 속도는 현대사에 전례가 없다. 2차 세계대전 이후 어떤 침체보다도 심각하다"면서 "질문은 남아있다. 지원조치가 충분했는가"라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경제를 뒷받침하기 위해 정책수단을 총동원하겠다"면서 "이런 조치들은 폭넓은 대응의 단지 한 부분에 불과하다는 점을 알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유동성 지원의 범위를 추가하는 방안을 계속 추진하고 있다고도 설명했다. 파월 의장은 연준의 유동성 프로그램에 종잣돈으로 제공한 4천540억 달러에 대해 "손실을 감수할 준비가 돼 있다"며 각종 유동성 공급 프로그램도 이달 말까지는 실제 가동에 들어갈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