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국가보안법 제정을 놓고 미중 갈등이 고조되는 가운데 미국이 중국 인민해방군과 연계된 중국인 유학생·연구원 등 3천명에 대해 비자 취소를 통해 사실상 추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미 뉴욕타임스(NYT)가 28일(현지 시각) 정부 관리들을 인용해 보도했다.
NYT는 미국에서 유학 중인 중국인 대학원생 가운데 중국 내 대학과 관련이 있는 학생들이 주요 표적이라며 이같이 전했다. NYT는 미국 내 유학 중인 중국인 학생은 약 36만명이라면서 이번 비자 취소 결정이 내려질 경우 최소 3000명이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추산했다.
NYT는 이 문제와 관련된 논의는 홍콩보안법으로 미중 갈등이 불거지기 이전이라며,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이 지난 26일 백악관 회의에서 이 문제를 논의했다고 보도했다.
그러나 비자 취소 결정이 내려질 경우 홍콩보안법을 둘러싼 갈등과 맞물려 무역 마찰, 중국 정보통신기업 화웨이 사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책임론, 대만 문제 등으로 최악을 걷고 있는 미중간 갈등을 더욱 격화시킬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 연방수사국(FBI)과 법무부는 특히 과학 분야 중국인 유학생들이 국가안보에 잠재적인 위협이 될 수 있다는 경고를 해왔다.
트럼프 행정부의 한 관리는 "중국군과 연계된 대학의 학생들 가운데 일부는 유학비를 지급받는 조건으로 정보 수집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중국인 대학원생들에 대한 비자 취소 방안은 미 검찰이 지난 1월 옌칭 예 중국인민해방군 중위를 기소하면서 탄력을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예 중위는 보스턴대학교에서 연구원으로 있으면서 중국군을 위해 연구를 수행하고 문서와 정보를 중국에 보낸 혐의를 받고 있으며, 현재 중국에 체류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미 국무부는 2018년 '민감 분야'를 공부하는 중국인 대학원 유학생에 대해 비자 유효기간을 1년으로 제한하고, 필요하면 갱신하도록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