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경제가 예상보다 빠르게 회복될 수 있을 거라는 기대감에 뉴욕증시 나스닥지수가 8일(현지시간)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는 코로나 사태 이후 뉴욕증시 3대 주가 지수 가운데 처음으로 나온 사상 최고치 기록이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나스닥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10.66포인트(1.13%) 상승한 9,924.75에 거래를 마감, 10,000선 턱밑까지 올랐다. 지난 2월 19일에 기록한 최고치(9,817.18)를 약 4개월 만에 경신했다.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461.46포인트(1.7%) 상승한 2만7572.44에 거래를 마쳤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38.46포인트(1.2%) 오른 3232.39에 장을 마감했다.
다우지수는 연초 대비로는 3.4%가량 하락률을 보이고 있지만, S&P500지수는 연초 대비 플러스 수익률로 돌아섰다.
시장은 예상보다 양호한 미국 고용시장 상황에 따른 빠른 경제 회복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지난주 발표된 미국의 5월 실업률이 시장의 예상과 달리 4월보다 하락하고 신규 고용도 증가세를 나타냈다. 고용시장 깜짝 개선에 미 경제가 저점을 이미 지났으며 빠르게 반등할 수 있다는 기대가 한층 강해졌다.
경제 재개 관련 긍정적인 소식도 꾸준히 나왔다. 코로나19 사태로 미국 내에서 가장 큰 피해를 본 뉴욕시는 이날부터 1단계 경제 활동 정상화에 돌입했다. 이번 1단계 정상화 조치로 최대 40만명이 일터로 복귀할 것으로 추산하고있다.
연준 경기부양 추가 조치도 주가 상승을 거들었다. 연준은 이날 기업에 대한 자금 지원인 ‘메인스트리트대출 프로그램’을 더 많은 중소기업이 혜택받을 수 있도록 수정한다고 밝혔다. 최소 대출 금액 기준은 낮추고 최대 대출 금액 한도는 올렸다. 원금 등의 상환 유예 기간도 확대했다. 연준 발표에 주요 주가지수는 장 막판에 상승 폭을 더 키웠다.
암울한 경제 진단과 미중 갈등 등 불안감을 자극할 수 있는 소식들도 있었지만, 시장은 크게 반응하지 않았다.
전미경제연구소(NBER)는 미국 경제가 지난 2월 정점을 찍고 경기 침체로 진입했다고 공식 선언했다. 2009년부터 10년 이상 이어진 경제 확장이 종료된 것이다. 세계은행(WB)은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마이너스(-) 5.2%로 대폭 하향 조정했다. 2차대전 이후 최악의 경기 침체가 예상된다고 WB는 지적했다.
뉴욕타임스는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이슬람 소수민족 인권 학대와 관련해 중국 당국자를 제재할 수 있도록 한 ‘위구르 인권정책 법안’에 서명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이는 중국과의 갈등을 고조시킬 수 있는 요인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코로나19 신규 감염이 다시 증가할 조짐을 보이는 점도 위험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이날 종목별로는 아메리칸 항공이 약 9.3% 추가로 상승했다. 보잉 주가는 12.2% 급등했다. 업종별로는 에너지가 4.32% 급등했고, 산업주는 1.97% 상승했다. 기술주는 0.45% 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