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사에 길이 남은 불후의 명작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가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사라졌다. 흑인 노예제를 미화했다는 논란 때문이다. 백인 경찰관에 의해 흑인 조지 플로이드가 사망한 사건으로 미 전역이 인종차별 반대 시위가 번진 가운데, 인종차별 논란의 불똥이 할리우드 고전 영화에까지 튄 것이다.
미국 윌스트리트저널 등 미국 언론에 따르면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 'HBO 맥스'는 10일(현지시간) 영화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를 방영 가능 작품 목록에서 일시 제외했다고 발표했다. 제외 이유는 ‘인종차별주의 묘사’ 때문이다.
HBO 맥스 측은 성명에서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는 그 시대의 산물로서, 불행하게도 미국 사회에서 흔한 인종적 편견을 일부 묘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회사 측은 이어 “이와 같은 인종적인 묘사는 그때나 지금이나 잘못된 것”이라며 “우리가 더 정의롭고 공평하며, 포용적인 미래를 만들기 위해서는 우리의 역사부터 인정하고 이해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미국 작가 마가렛 미첼의 동명 소설이 원작인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는 미 남북전쟁 당시 남부 지역을 배경으로 농장주의 딸 스칼릿 오하라(비비안 리)의 삶과 고난을 다뤘다. 1939년 개봉된 이 영화는 그해 아카데미 상 10개 부문을 수상해 최고 영화 반열에 올랐다.
하지만 이 작품은 노예제를 미화했다는 비판을 꾸준히 받아 왔다. 백인 주인에게 시종드는 흑인 하녀의 모습이 흑인들을 폄하한다는 논란도 끊이지 않았다. 특히 영화 장면 중 오하라의 농장에서 일하고 있는 흑인 노예들의 모습이나 주인집 아가씨에게 시중을 드는 흑인 하녀의 모습이 대표적이다. 또 백인우월주의 단체인 쿠클럭스클랜(KKK)을 자경단 같은 존재로 미화했으며, 흑인 노예들이 겪는 고통은 외면하고 경멸적 고정관념만 심화시켰다는 비판도 받았다.
HBO맥스는 이날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는 (영화 제작) 당시 미국 사회에선 일반적으로 퍼져 있던 민족적, 인종적 편결을 묘사한 부분이 있다”고 밝혔다.
또 “인종차별주의적 묘사는 그 때나 지금이나 잘못된 것이다”면서 “그런 묘사에 대한 설명 없이 영화를 그대로 유지하는 것은 무책임하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HBO맥스 측은 차후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가 역사적인 맥락에 대한 설명과 함께 새롭게 상영 목록에 올라오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언제쯤 이 영화가 HBO 맥스의 상영 목록에 포함될 지는 밝히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