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볼턴 전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출간 예정인 회고록 <그것이 일어난 방(The Room Where It Happened)>에 담긴 내용이 연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불리하게 작용하고 있다. 이번에는 트럼프 대통령이 지속적으로 요구한 주한 미군 방위비 분담금에 관한 내용이다.
볼턴 전 보좌관은 회고록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방위비 분담금 증액을 위해 ‘주한미군 철수’를 위협하라고 뒤에서 조종했다고 주장했다.
책에서 볼턴 전 보좌관은 “(트럼프 행정부와) 한국, 일본과 관계를 괴롭히는 사안은 주한 미군이 얼마 만큼의 비용을 분담해야 하느냐는 것”이라며 트럼프는 세계에 퍼져 있는 미군을 보며 “우리가 왜 이들 나라에 들어가 있나”라고 묻기도 했다고 적었다.
그는 “사실상 미국은 어디에나 기지가 있었고, 주둔국은 일정 비용을 지불했으나 그 지불 규모는 다양했고, 얼마를 지불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실제적인 합의랄 게 없었다”며 “미 국방부의 창의적인 회계 기술을 적용하면, 거의 모든 비용이 높든지 낮든지 정당화될 수 있었다”고 했다.
방위비는 사실상 미국이 마음만 먹으면 얼마든지 조절가능한 고무줄이라는 것이다.
볼턴 전 보좌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으로부터 주한미군 주둔 비용으로 50억달러(약 6조원)를 받지 못한다면 미군을 철수하라고 했다고도 주장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은 미군 주둔국들이 기지 비용에 ‘플러스(+) 50%’를 더 내야 한다는 생각을 오랫동안 갖고 있었다”고 밝혔다.
회고록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방위비 분담 문제와 관련해 여러차례 미군 철수를 위협했다고 한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은 최고위 참모들에게 왜 한반도에 대규모 미군이 주둔하는지 이해할 수 없다고 토로하기도 했다.
볼턴 전 보좌관은 “한국 등과의 관계를 매우 어렵게 했던 이슈 중 하나는 미군 기지를 유치한 나라들이 내야 할 비용 분담에 관한 문제였다”며 “많은 논의 후에도 ‘미국이 한국을 지키기 위해 거기 있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생각은 흔들리지 않았다”고 했다.
볼턴 전 보좌관은 “트럼프만이 얼마면 만족할 지를 알고 있다”며 “진짜 (방위비) 숫자가 무엇인지 추측하는 것은 소용이 없었다”고 했다. 그러면서 트럼프 자신도 모를 것이라고 했다.
그는 또 트럼프 대통령이 분담금 증액을 얻기 위해 “미군 철수로 위협하라”고 지시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각각 “연 (일본에서) 80억 달러와 (한국에서) 50억 달러를 얻는 길은 모든 미군을 철수하겠다고 위협하는 것”이라며 “그것이 당신을 매우 (협상에서) 강력한 위치에 있게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