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교회에서 집단감염이 연달아 발생하며 코로나19 신규 환자가 8일 만에 60명대로 급증했다. 이에 방역당국은 종교시설발 집단감염이 계속된다면 고위험시설로 지정해 관리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경기 안양에 있는 주영광교회에서는 코로나19 확진자가 28일 기준 18명으로 늘어났다. 방역당국의 조사 결과 주영광교회는 일부 방역수칙을 제대로 지키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방역당국 관계자는 “교회 안에서 환기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고, 교회 내에서 함께 식사하는 등 방역수칙에 맞지 않은 부분이 있었다”고 밝혔다.
교인이 9000여 명에 달하는 수원 중앙침례교회에서도 교인 2명과 가족 1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다. 교인 2명은 잠복기인 17일부터 24일까지 4차례 예배에 참석했다.
방역당국은 “해당 예배에 참석한 교인은 717명인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해당 교인들에 대해서는 검체 검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서울 관악구 왕성교회에서도 주말 사이 10명의 확진자가 추가되며 총 27명으로 늘어났다.
문제는 확진자 중에 고등학교 교사와 호텔 사우나 직원까지 포함돼 환자가 앞으로 더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이처럼 교회를 통한 집단감염이 계속되자 방역당국은 교회를 대형학원이나 클럽처럼 고위험시설로 지정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교회가 고위험시설로 지정되면 전자출입명부제 등 방역수칙 준수가 의무화되고, 위반하면 300만원 이하 벌금이나 사실상 문을 닫는 집합금지조치가 내려질 수 있다.
고위험시설은 현재 12곳으로 계도기간이 끝나 내달 1일부터 전자출입명부제가 본격 시행될 예정이다.
종교 활동을 규제해야 한다는 지적은 코로나19 확산 초기 때부터 나왔다. 밀폐된 공간에 많은 사람들이 모이는 데다 함께 노래를 부르고 밥을 먹는 곳이 많아 코로나19 감염에 특히 취약하기 때문이다. 다양한 지역에 살며 다양한 직업을 가진 사람들이 종교행사에 참석했다가 흩어지기 때문에 지역사회에서 2차, 3차 전파를 일으키기도 쉽다.
그동안 방역당국은 수차례 방역수칙을 지켜 예배를 보고, 교회 관련 행사를 취소·연기하거나 비대면으로 전환해달라고 당부했지만 교회를 통한 집단 감염은 계속돼 왔다. 특히 서울·경기·인천에 영향을 미친 수도권개척교회모임의 경우 확진자가 119명에 이른다. 자율규제가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만 확인한 셈이다. 왕성교회에선 수련회와 성가대연습이 있었고, 주영광교회는 교회 구내식당에서 식사를 하는 등 방역수칙을 일부 지키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한편 코로나19 확진자가 나온 국방부 영내 어린이집에선 원생 1명이 감염된 것으로 확인됐다. 해당 원생의 가족 3명은 자가격리됐다. 이 어린이집에서는 전날 20대 여성 교사 1명이 확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