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국가보안법 시행 첫날인 어제(1일) 300명이 넘는 시민이 체포되는 등 홍콩은 어수선한 분위기였다. 미국과 영국 등 서방국가들은 일제히 중국을 비판하고 나섰고, 특히 미국은 중국에 대한 제재를 시사했다.
홍콩 반환 23주년이자 국가보안법 시행 첫날인 이날 홍콩 시내에서는 보안법에 반대하는 홍콩 시민들이 몰려나와 대규모 시위가 벌어졌다.
국가 보안법은 '국가 분열'과 '국가 정권 전복', '테러리즘 행위', '외국 세력과 결탁' 등 4가지 범죄를 최고 무기징역형으로 처벌할 수 있는 내용을 담고 있어, 홍콩 내 반(反)중국 행위를 막기 위해 재정됐다.
이에 홍콩 시민 수천명은 자치권을 훼손하는 홍콩 보안법 시행에 반발해 거리로 나와 강력히 항의했고, 홍콩 경찰은 이들을 물 대포와 최루탄을 발사하여 제압하고, 이들 중 370여명에 대해서는 부안법 위반 혐의를 즉시 적용했다.
체포된 시위대에는 15살 소녀도 포함됐는데, '홍콩 독립'이라고 적힌 깃발을 소지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해 장 샤오밍 베이징 주재 홍콩·마카오 사무국장은 "체포된 홍콩 용의자들이 중국 본토에서 재판을 받을 수 있다"며 "홍콩 보안법은 일국양제 원칙을 충실하고 안전하게 시행하기 위한 필요조건"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중국이 남의 누치를 살피는 시대는 지나갔다"고 덧붙였다.
한편, 미국과 영국 등 서방국가들은 홍콩 국가보안법 폐지를 촉구하고 나섰다.
특히 미국은 "중국이 일국양제 원칙을 훼손했다"고 비판하며 홍콩 보안법 철회를 강하게 요구했다.
나아가 "베이징이 홍콩을 한 국가 한 체제로 취급하고 있기 때문에 미국도 그렇게 해야 한다"며 홍콩에 제공했던 특별 지위를 박탈하고 그 상태를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또, 중구에 대한 추가 제재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백악관은 신장지역 인권탄압과 관련해 중국 관리 제재 방안을 마련하고, 신장에서 생산된 제품 반입을 제한한 것으로 전해졌다.
영국은 서방 27개 국가들과 함께 유엔인권이사회에서 "법 시행을 재고하라"고 촉구했으며, 또 홍콩 시민 300만 명에게 영국 국적 여권을 제공하는 계획도 발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