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가 재확산하며 결국 확진자 300만명을 넘어섰다. 이런 상황에서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학교 정상화를 연일 강하가 밀어붙이고 있어 논란이 되고 있다.
8일(현지시간) 외신에 따르면 백악관 코로나19 대응 태스크포스는 이날 약 2주만에 언론 브리핑을 열었다. 이번 브리핑은 트럼프 대통령이 트윗에서 학교 정상화를 촉구한 2시간 후에 열린 것으로, 펜스 부통령을 비롯해 관련 부처 장관이 대거 참석했다.
펜스 부통령은 "이제 때가 됐다. 아이들이 학교로 되돌아갈 수 있도록 해야 할 때"라며 "절대적으로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로버트 레드필드 질병통제예방센터(CDC) 국장도 CDC의 지침이 학교를 정상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의도로 만들어진 것이라며 학교를 계속 봉쇄하는 데 활용돼선 안 된다고 강조하며 트럼프 행정부에 힘을 실어줬다.
CDC는 지난 5월 책상이 최소 6피트(1.8m) 간격을 유지하고 같은 방향을 보도록 하며 교실에서의 점심 식사, 매일 발열체크 등을 권고했다.
그는 CDC가 다음주에 학교 정상화와 관련한 새로운 지침을 제시할 것이라고 밝히면서 "이 바이러스가 어린이에게 중대한 질병을 초래할 가능성은 매우 매우 낮다"고 말하기도 했다.
벳시 디보스 교육부 장관은 "결국 학교를 열 것이냐가 아니라 어떻게 열 것이냐의 문제다. 학교는 완전히 정상화해야 한다"고 말했고, 유진 스캘리아 노동부 장관은 학부모가 자신의 업무를 계획할 수 있도록 정상화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CDC가 브리핑에서 새로운 지침을 내놓겠다고 한 데는 기존 지침을 공개 비판한 트럼프 대통령의 트윗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앞서 이날 오전 트윗을 통해 학교가 가을 학기에 정상적으로 개교하지 않으면 자금 지원을 중단할 수 있다고 압박한 트럼프 대통령은 뒤이은 트윗에서 CDC의 기존 학교 관련 지침은 매우 힘들고 비용이 많이 드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학교 정상화를 위한 CDC의 매우 엄격하고 비싼 지침에 동의하지 않는다"면서 "CDC는 학교를 열기 원한다면서 학교에 매우 비현실적인 것들을 주문하고 있다. CDC를 만나겠다!"고 밝혔다.
백악관은 이번주 들어 학교 정상화 압박 수위를 본격적으로 높여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역점을 두는 경제 정상화를 밀어붙이기 위해선 학교 정상화가 선결돼야 한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학교가 문을 열어야 부모들이 자녀를 돌봐야 하는 부담에서 벗어나 다시 일터로 돌아갈 수 있어서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도 트윗을 통해 "독일, 덴마크, 노르웨이, 스웨덴 등 많은 나라에서 학교가 열었지만 아무 문제가 없다"고 강조하고는 "민주당은 11월 선거 전에 학교가 문을 열면 정치적으로 자신들에게 나쁘다고 생각하는데 이것은 가정과 아이들에게 중요하다"며 민주당이 이를 일부러 방해한다는 기존 주장을 재차 펼쳤다.
또 전날에는 행정부, 학교 관계자 등과 함께 '학교의 안전한 재개를 위한 국가적 대화' 행사를 열어 "주지사와 다른 모든 이들을 매우 많이 압박할 것"이라고 노골적으로 발언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같은 트럼프 대통령의 학교 정상화에 반대하는 의견도 많다.
미국 내 코로나19 최대 확산지인 뉴욕주 앤드로 쿠오모 주지사는 “합법적이지도, 합헌적이지도 않는 발언”이라며 "개교 여부는 과학과 수치에 기반해 내달 초 결정하겠다"는 입장을 보였다.
이어 “연방정부가 개교 시기를 결정하는 법적 권한은 없다”고 반박하기도 했다.
정치전문매체 더힐도 "무증상 감염 학생이 바이러스를 집으로 가져오거나 나이든 선생님과 학교 직원이 학교로 안전하게 돌아올 수 있을지에 관한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