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22일(현지시각) 텍사스주(州) 휴스턴 주재 중국 총영사관 폐쇄 명령을 발표했다. 총영사관 폐쇄는 단교 이외에 가장 강력한 조처 중 하나로, 미국과 중국의 대결이 최악으로 치닫고 있다.
중국 외교부와 미국 연론 보도에 따르면, 지난 21일 미국이 중국 쪽에 휴스턴 주재 총영사관 폐쇄를 실제 통보했다. 이후 미 국무부는 24일 오후 4시까지 72시간 이내에 휴스턴 주재 총영사관의 모든 활동을 종료하고, 시설을 폐쇄한 뒤 외교 인력도 철수시키라고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자국 주재 외국 외교공관을 폐쇄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해당국이 자국의 주권 등 국익을 심각하고 현저하게 위반한 경우에만 이뤄진다.
앞서 미국 내 외교공관이 폐쇄된 것은 지난 2017년 러시아가 미국 외교관을 추방했을 당시 미 행정부가 샌프란시스코 러시아 총영사관과 워싱턴 소재 대사관 부속건물, 뉴욕 영사관 부속건물 등 총 3곳에 대한 폐쇄 명령을 내린 게 마지막이었다.
이때 러시아는 2016년 미국 대선에 개입한 의혹을 받고 있던 상황이어서 정당한 이유가 있었다.
즉, 이번 중국 외교공관 폐쇄도 대선 개입 정도의 정당성이 필요하다는 뜻이다.
이와 관련해 미 국무부는 이날 휴스턴 주재 중국 총영사관 폐쇄 이유를 “미국의 지식재산권과 미국인의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서”라고만 밝히고 구체적인 지식재산권 침해 등에 대한 내용은 공개하지 않고 있다.
다만 최근 미국 내에서 코로나19가 재확산되고 있는 상황에 트럼프 대통령이 코로나19를 '중국 바이러스'라고 표현한 것과 관련해 그가 재선을 위한 '중국 때리기'기의 일환으로 총영사관 폐쇄가 나온 것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한편, 미국의 이같은 조처에 중국 정부가 “터무니없고 부당한 조처”가 철회되지 않으면 “반드시 단호한 보복”에 나설 것이라고 예고하고 있어 한동안 미·중 관계를 악화일로를 걸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