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중단했던 한국인에 대한 비자 발급을 이르면 다음 달 초부터 재개한다.
장하성 주중대사는 27일(현지시간) 베이징 특파원들과의 간담회에서 “중국 당국과 유학생(X비자), 취업자(Z비자), 비자신청 시점에 유효한 중국 거류증이 있는 교민 등에 대해 우선 입국 비자 발급을 개시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앞서 중국은 해외에서 코로나19가 확산되던 지난 3월 28일부터 외국인에게 발급된 기존 비자의 효력을 정지하고 외교관, 구호 목적 등 특수한 경우에만 입국을 허용했다.
이후 한·중 양국은 협의를 통해 5월1일부터 상대국 정부가 인정하는 기업인에 대해 입국을 허용하는 '신속통로 제도'를 운영하고 있지만 대기업이나 관련 기업체 직원들이 아니면 비자를 받기 어렵다는 지적이 꾸준히 재기됐다.
현재 중국 초·중·고와 대학에 재학하는 한국인 유학생 약 5만명은 대부분 한국에 머물고 있으며, 교민의 30%가량이 중국으로 돌아가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비자 발급 개시 시점은 구체적으로 정해지지 않았지만 이르면 8월 초부터 시행될 전망이다.
장 대사는 “오는 9월 중국 학교 개학 시기에 맞춰 유학생들이 들어올 수 있는 길이 열렸다”며 “중국에서 생업을 해야 하는데 돌아올 수 없었던 교민 등의 어려움도 조금이나마 해소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한국과 중국을 오가는 양국 국민에게서 장기간 코로나19 확진자가 나오지 않았다는 점 등 방역 성과가 이번 협의에 중요하게 작용했다”며 “비자 신청 시 핵산검사를 받고 그에 따른 건강확인서를 발급받는 등의 조건이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사관 측은 이번 비자 발급 대상에서 거류증이 만료된 경우는 제외되는데, 이들에 대해서도 추가적인 조치가 이뤄질 수 있도록 중국 측과 협의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코로나 사태 이후 중국이 타국에 대해 비자 업무를 재개한 것은 한국이 처음이어서 다른 나라들과 비자 업무를 협의하는 데 기준이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