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바논 수도 베이루트에서 발생한 대형참사와 관련해 정권 퇴진 요구가 거세지자 레바논 내각이 10일(현지시간) 총사퇴를 발표했다.
하산 디아브 레바논 총리는 이날 텔레비전으로 방송된 대국민 연설에서 베이루트 폭발 참사와 관련해 내각이 총사퇴를 한다고 밝혔다.
디아브 총리는 "우리는 대규모 참사를 맞았다. 베이루트 폭발은 고질적인 부패의 결과"라면서 "국가를 구하려고 노력했지만 부패 시스템이 컸다"고 말해다.
디아브 총리가 이끄는 내각은 올해 1월 이슬람 시아파 정파 헤즈볼라의 지지를 얻어 출범했다.
그러나 정치 개혁과 경제 회복 등에서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했고 폭발 참사가 겹치면서 7개월 만에 좌초하게 됐다.
앞서 지난 4일 베이루트 항구에서 대형폭발이 발생해 160명이 숨지고 6천여명이 다쳤다. 레바논 정부는 베이루트 항구 창고에 6년 전부터 보관된 인화성 물질 질산암모늄 약 2750t이 폭발한 것으로 보고 있다.
이같은 사실이 알려지며 정부에서 위험한 질산암묘늄을 베이루트 도심과 가까운 곳에 6년간 방치했다는 비판이 일었고, 분노한 시민들이 정권 퇴진을 요구하며 거리로 나왔다.
지난 8∼9일 베이루트 도심에서는 수천명의 시민이 나와 반정부 시위가 벌어졌고, 특히 8일 대규모 시위대와 경찰의 충돌 과정에서 경찰 1명이 숨지고 시위 참가자 및 경찰 230여명이 다쳤다.
이에 9일부터 압델-사마드 공보장관, 다미아노스 카타르 환경장관, 마리 클라우드 나즘 법무장관, 가지 와즈니 재무장관 등 장관 4명이 잇달아 사임 의사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