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의과대학 정원 확대 방침에 반대하며 대한의사협회(의협)가 주도하는 14일 전국의사총파업이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이번 집단 휴진에 개원의들뿐 아니라 병원에 고용돼 근무하는 봉직의들도 대거 참여가 예상되면서 진료 공백이 생길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앞서 의협은 지난 1일 정부에 의대정원 확대 철회 등을 요구했다. 이에 정부는 '대화로 해결하자'는 입장이었지만, 결국 양측의 이견이 좁혀지지 않아 당장 내일 집단휴업이 단행될 전망이다.
이번 의협 총파업에는 대학병원에서 수련하는 인턴, 레지던트 등 전공의와 동네의원을 운영하는 개원의 등이 참여할 예정이다. 의협은 이번 파업에는 전공의들의 선배 의사인 전임의들도 참여할 것으로 예상한다.
대한전공의협의회가 임상강사 등 전임의 869명을 상대로 실시한 설문에서는 734명, 약 80%가 파업에 동참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 7일 전공의들의 집단 휴진 당시 전임의들이 업무를 대체해 진료 공백을 메웠던 것을 고려할 때, 이번 전임의들의 휴진은 당장 상급종합병원에서의 진료 차질로 이어질 수 있다.
다만 환자의 생명과 직결된 필수 진료를 담당하는 인력은 이번 파업에서 제외된 데 따라 크게 우려할 만한 응급상황은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진단 휴진을 앞두고 서울 시내 주요 병원에서는 환자 진료에 차질이 없도록 파업에 참여하는 인력 규모를 확인하고 일부 수술, 검사 일정을 조정하는 중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환자 치료를 담당하는 업무 역시 무리 없이 유지될 전망이다.
관건은 동네의원을 운영하는 개원의들의 집단휴진 참여율이 될 것이라는 게 의료계의 중론이다. 각 지역에서 1차 의료를 담당하는 동네의원이 대거 휴진할 경우 환자들의 혼란은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현재 의협은 정부가 추진하는 의과대학 정원 확대, 공공의대 설립, 첩약 급여화, 비대면 진료 도입 등에 반대하고 있다. 의협은 정부가 이들 정책을 철회하지 않을 경우 2, 3차 파업도 염두에 두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