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닷새 연속 세 자릿수를 기록하면서 중증환자를 치료할 병상과 인력이 부족한, 이른바 '의료붕괴' 현실화 우려가 나오고 있다. 특히 이번 확산의 주요 진앙지로 꼽히는 수도권은 코로나19 치료 병상이 이미 80%가 찬 상황으로, 이 속도로 가면 일주일만에 병상이 모자른 초유에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
20일 수도권 지방자치단체에 따르면 서울에서는 지난 18일 오후부터 19일 오전까지 병상 배정을 받지 못한 환자가 80여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에서도 30명 가량이 곧바로 입원을 못했다.
정부는 아직까지는 환자를 수용할 여유가 있다는 입장이지만, 수도권 재확산의 중심이 교회와 광복절 집회 등에 참여한 고령층이라는 점에서, 갑자기 악화될 가능성도 높다.
실제로 서울 시내 치료 가능 병상은 급속도로 줄고 있다. 서정협 서울시장 권한대행은 “이날 오전 9시 기준 서울의 코로나19 치료 병상 787개 가운데 636병상이 사용 중으로, 가동률은 80.8%”라고 밝혔다.
이같은 상황에 시민단체들은 공공병원 외에 민간병원의 병상을 적극적으로 확보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보건의료단체연합과 참여연대는 이날 논평을 내고 “수도권에 있는 삼성서울병원과 서울아산병원 등 대형병원들이 비응급환자 진료를 미루고 코로나19 치료를 위한 병상과 인력을 제공하도록 정부가 집행을 강제해야 한다”면서 “특히 음압중환자실을 확보해야 치명률을 낮출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 정세균 국무총리는 이날 중대본 회의에서 “중증환자 증가에 대비해 충분한 병상 확보에 최선을 다하라”고 지시했다.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도 이날 중대본 회의에서 “행정안전부와 지방자치단체의 협조를 통해 2000명 이상의 경증환자가 생활할 수 있는 생활치료센터 설치를 준비하고 있다"며 "감염병 전담병원의 병상을 최대한 확충하고, 중증환자를 치료하기 위한 병상도 확대할 것”이라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