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의과대학 정원 확대 방침에 반대하는 인턴, 레지던트 등 종합병원에서 수련하는 전공의들이 오늘(21일) 오전 7시를 기해 파업에 돌입했다. 전공의들의 무기한 파업은 의약분업 사태인 2000년 이후 20년 만이다.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에 따르면 이날 인턴과 4년차 레지던트를 시작으로 22일 3년차 레지던트, 23일 1년차와 2년차 레지던트가 업무를 중단하기로 했다. 전공의들의 단체행동은 지난 7일 집단휴진, 14일 대한의사협회의 1차 전국의사총파업 참여에 이어 세 번째다.
대전협에 따르면 이번 파업에는 전공의 1만 6000명중 파업 참여인원은 1만여명이 참여한다.
이번 파업에 따라 서울 시내 주요 병원(서울대병원·서울아산병원·신촌세브란스병원·삼성서울병원·서울성모병원)은 예정돼있던 수술을 연기하고, 일부 외래진료 예약 환자를 축소, 인력을 재배치하는 등 대응에 나섰다.
다만 대전협에서 파업을 지속해서 이어가겠다고 밝힌 만큼 장기화에 대한 우려가 적지 않다. 무엇보다 최근 수도권을 중심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가 급증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전공의의 파업에 대한 찬반 의견이 갈린다.
이같은 우려와 관련해 대전협은 단체행동 중에도 코로나19 방역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무기한 파업에 돌입한 후에도 지방자치단체와 긴밀히 협의해 선별진료소 등 방역 인력이 필요한 곳에 주도적으로 참여하겠다는 입장이다.
대전협은 의대 정원 확대, 공공 의대 설립 등의 정부 정책에 의료계 현장의 목소리가 반영되지 않았다면서 전면 재논의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이들은 무기한 파업 이후에는 사직서 제출 등도 추진할 계획이다.
아울러 26일에는 개원의 중심의 대한의사협회가 지난 14일에 이어 2차 총파업이 예정돼 있다.
한편, 정부는 이같은 의사들의 집단 휴진에 대해 법과 원칙에 따라 엄정 대응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