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배 기사들이 추석 연휴를 앞두고 과중한 업무 부담을 호소하며 오는 21일부터 택배 분류작업을 거부하기로 결정했다.
노동·시민단체들로 구성된 '택배 노동자 과로사 대책위원회'는 17일 서울 정동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전국 4천여명의 택배 기사들이 오는 21일 택배 분류작업 거부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대책위는 "분류작업은 택배 노동자들이 새벽같이 출근하고 밤늦게까지 배송을 해야만 하는 장시간 노동의 핵심 이유"라며 "하루 13∼16시간 노동의 절반을 분류작업에 매달리면서도 단 한 푼의 임금도 받지 못한다"고 호소했다.
앞서 대책위는 지난 14∼16일 택배 기사들을 대상으로 분류작업 전면 거부를 위한 총투표를 진행했다. 투표에는 민주노총 택배연대노조 조합원을 포함한 4천358명이 참가해 4천160명(95.5%)이 찬성했다.
대책위는 투표 참가자 가운데 500여명은 조합원이 아니라며 "그만큼 택배 노동자의 과로사에 대해 우려하고 있고 분류작업 인력 투입에 대한 요구가 강하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같은 택배기사들의 요구는 올해 들어 과중한 업무로 인해 사망한 택배 기사는 7명에 달하기 때문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의 장기화로 택배물량은 월 3억건에 달하는데 업무환경은 이전과 변화가 없었다.
거기에 연중 택배 물량이 가장 많이 몰린다는 추석이 다가오며 택배 기사들은 업무가 이 이상 늘어난다면 더 많은 인원이 사망할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이를 막기 위해 분류작업에서 손을 떼겠다는 게 택배 기사들의 주장이다.
당장 추석이 다가오는데 택배 기사들이 분류 거부를 선언하자 정부는 추석 택배 배송 차질을 막기 위해 택배사들과 논의를 거쳐 다음 달 16일까지 허브 터미널과 서브 터미널에 하루 평균 1만여명의 분류작업 인력을 추가 투입하는 것을 포함한 대책을 내놨다.
이에 대해 대책위 관계자는 "(정부가 내놓은 대책에 대해 어떻게 대응할지)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한편 택배 기사들의 분류작업 거부가 현실화할 경우 업무 부담이 커질 수 있는 집배원들이 반발하고 나서 노·노 갈등 양상도 나타나고 있다.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 전국우정노조는 이날 성명을 내고 "가장 바쁜 명절 시기에 택배노조가 파업하면 미처리 물량이 모두 집배원에게 전가돼 노동 강도가 가중될 것이고 이는 집배원을 사지로 몰아넣는 것이나 다름없다"고 비판했다.
우정노조는 "택배노조의 파업 여파가 집배원에게 전가되는 무책임한 행태를 절대로 좌시하지 않겠으며 더욱이 희생을 강요할 경우 이에 대한 응당한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