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이 다음 달 초 1박2일 일정으로 한국을 방문한다. 그의 방한 시기가 북한 열병식이 예고된 노동당 당건 75주년(10월10일)과 맞물리고, 또 미국 차기 대통령을 정하는 11월 대선 한 달 전이라는 점에서 방한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정부 소식통은 23일 "폼페이오 장관이 추석 연휴 뒤 한국을 방문할 것"이라며 "구체적 일정은 확정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번 방한은 새로 취임한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일본 신임 총리를 만나기 위해 일본을 방문하기에 앞서 동맹국인 한국도 들르는 차원이라고 이 소식통은 전했다.
폼페이오 장관의 방한은 4차 방북을 했던 2018년 10월 이후 2년만이다. 이번 방한은 이틀 간 예정되어 있으며, 폼페이오 장관은 강경화 외교부 장관과 회동하는 한편 문재인 대통령도 예방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폼페이오의 방한이 가지는 의미에 대한 관심도 뜨겁다. 미 대선이 40일 앞으로 다가온 이때 한반도 상황을 관리하겠다는 데 1차적 목적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내달 10일 노동당 창건일(쌍십절)을 앞둔 북한이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을 발사하거나,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공개할 경우 재선을 노리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겐 정치적 악재로 작용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이번 방한으로 군사적 도발 움직임을 미리 차단하려는 게 아니냐는 해석도 나온다.
아울러 '중국 때리기'에 한창인 미국이 한국에 동맹국으로서의 역할을 요구할 수도 있다.
미국은 지난 달 양제츠(杨洁篪) 중국 공산당 정치국원의 방한으로 부쩍 가까워진 한중관계를 불편해할 수 있다. 2년만에 이뤄지는 폼페이오 장관의 방한에는 한국이 중국에 기울도록 지켜보지 않겠다는 의도가 깔려 있다는 분석도 설득력을 얻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