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날(24일) 문재인 대통령과 스가 요시히데 일본 신임 총리가 전화회담을 했다. 이를 두고 한국 언론은 스가 총리가 아베 신조 전임 총리와 달리 한일 정상의 소통을 시작했다고 평가했지만, 일본 언론은 한일 관계 회복이 요원하다고 평가했다.
스가 정권이 일제 강점기 징용 문제 등에 관해 아베 정권을 계승한다는 입장이고, 이날 통화에서도 한일 역사 문제와 수출 규제에 대한 이슈는 다뤄지지 않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한일 간 견해 차이를 해소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분석이다.
25일 아사히 신문은 양국 정상의 전화회담에서 스가 총리가 "(한일관계를) 이대로 방치해서는 안 된다"면서도 "'관계 개선은 한국의 대응에 달렸다'는 아베 정권의 자세를 계승하고 있으며 호전의 조짐은 보이지 않는다"고 진단했다.
요미우리 신문도 스가 총리가 즉시 징용 문제를 꺼내며 "한국 측을 견제했다"면서 스가 총리가 한국에 대한 외교에서도 아베 노선 계승 방침을 선명하게 하고 있어 완전히 식어버린 한일 관계를 회복하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고 평가했다.
신문은 이날 회담에서 상대국에 대해 문 대통령은 '기본적 가치와 전략적 이익을 공유하는 가장 가까운 친구', 스가 총리는 '매우 중요한 이웃 나라'라고 표현하며 친밀감을 형성했으나, 스가 총리가 징용 문제를 거론하자 분위기가 급변했다고 덧붙였다.
또 "스가 총리는 첫 회담에서 징용 문제에 쐐기를 박았으며 여기에는 일본이 양보하지 않는다는 자세를 강조하면서 돌이킬 수 없는 상태로까지 한일 관계를 악화시키지 않겠다는 노림수도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는 징용 문제에 관한 일본 정부의 입장을 두고 일본 외무성의 한 간부가 "새 정권에서도 원칙은 전혀 변하지 않는다"고 전한 것을 인용 보도했다.
산케이신문은 전화 회담 때 스가 총리와 동석한 오카다 나오키 일본 관방부장관이 "담담한 분위기에서 이뤄졌다"는 반응을 보였다고 전했다. 통상 회담의 분위기에 대해서는 "화기애애했다", 격의 없는 분위기에서…"등으로 부각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오카다의 발언은 이례적이라고 신문은 평했다.
신문은 이어 일본 정부의 한 고위 관료가 "저쪽(한국)이 전화 회담을 하겠다면 응하지만, 공은 저쪽에 있다"는 이야기를 하기도 했다고도 보도했다.
또, 일본 정부의 한 고관은 "저 사람(문 대통령)과 오래 얘기해도 어쩔 수 없다"고 반응하는 등 일본 측이 양보할 여지는 거의 보이지 않는다고 진단했다.
다만 일본 외교청서의 한국에 관한 설명에 '중요한 이웃 나라라는 표현이 3년 만에 되살아났는데 스가 총리가 전날 '매우 중요한 이웃 나라'라고 언급해 한국에 대한 "배려를 보여줬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