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무료 인플루엔자(독감) 예방 접종을 위한 백신이 유통 중 상온에 노출된 문제로 무료 접종사업을 중단하고 품질 검사에 돌입하자 민간 의료기관으로 유료접종을 하려는 시민들이 줄을 서고 있다.
500만명 분의 독감 백신이 폐기될 가능성이 늘어나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초기 '마스크 대란'이 일어났던 것 처럼 백신도 품귀 현상이 발생할 지 모른다는 불안감에서다.
25일 일부 병·의원에서는 돈을 내고라도 빨리 접종하겠다는 사람들이 건물 밖으로 줄을 서는 진풍경이 연출됐다. 현재 독감 백신 무료접종 사업을 일시 중단됐지만, 일선 병·의원에서 유료 접종은 가능하기 때문에 돈을 주고라도 미리 맞자며 사람들이 몰린 것.
특히 어린 자녀를 둔 부모들은 품질 검사 결과를 기다릴 수도 없고 만약 검사 결과가 괜찮다고 해도 맞추기가 찝찝하다며 유료 접종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실제 온라인 커뮤니티에도 "아이들 독감 백신, 유료라도 접종하는 게 나을지 고민이다. 무료 접종 기다리다가 못 맞는 게 아니냐"는 글이 올라오고 있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올해 공급되는 전체 백신은 국가예방접종용 공공물량 1844만도스(dose·1도스는 1회 접종량)와 민간 의료기관에 유료로 공급되는 1120만도스 등 총 2964만도스다. 이중 유통문제가 불거진 백신은 공공물량 중 약 500만도스로 전체 17% 정도다.
해당 물량이 폐기될 경우 그만큼 물량이 부족해지면서 품귀현상이 일어날 우려도 나온다. 현재로선 백신의 추가 생산·수입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아울러 가격 인상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유료 접종의 경우 건강보험의 적용을 받지 못하고 비급여로 접종자가 전액을 부담한다.
지금처럼 유료 백신이라도 맞으려는 사람들이 민간 의료기관으로 몰리다보면 백신이 빠르게 소비되고, 물량 확보가 어려우면 자연적으로 접종비가 상승하게 된다. 접종비는 병·의원에서 자체적으로 결정한다. 현재 병·의원의 4가 독감백신 접종비는 약 3만5000원에서 4만원 수준으로 결코 저렴한 가격은 아닌데, 여기에 더 상승한다면 가계에 부담이 될 수 밖에 없다.
이와 관련해 일각에서는 백신 수급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고위험군이 아닌 올해 새로 추가된 500만명을 제외하는 등 우선순위를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중증도 분류를 통해 코로나19 치명률을 낮췄듯 독감백신도 최악의 상황을 막는데 집중해야 한다는 설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