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유통 과정 중 '상온노출 사고'가 일어난 인플루엔자(독감) 백신 품질에는 이상이 없지만, 효력을 우려해 48만명 분을 수거하기로 했다.
질병관리청과 식품의약품안전처는 6일 지난달 21일 상온 노출 의심 제보를 받은 신성약품 유통 578만명분의 인플루엔자(독감) 백신에 대한 조사 결과를 발표하며 이 같이 밝혔다.
정부 조사에 따르면 의심 물량 578만명분 중 실제로 유통됐던 물량은 539만명분이었다. 이 중 백신 효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우려가 있어 수거하기로 한 물량은 48만명분이다.
호남 일부 지역에서 백신 상하차 작업중 땅바닥에 적재됐던 17만명분, 적정 온도인 2~8도 기준을 13시간 이상(800분) 벗어났던 2000명분이 상온 노출로 수거된다. 또 독감 백신 효과를 줄일 수 있는 0도 미만 영하 상태로 운송됐던 27만명분도 수거한다. 운송 과정에서 온도 추적 확인이 이뤄지지 않은 3만명분도 수거한다.
정부가 수거하기로 한 48만명 분은 올해 무료 접종 대상인 생후 6개월∼만 18세 소아·청소년과 임신부, 만 62세 이상 어르신 등 1천900만명과 대비하면 2∼3%에 해당하는 물량이다.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해당 물량은 조속히 수거해 접종되지 않도록 조치할 예정"이라고 했다.
그는 이어 "접종 재개 일정에 대해서는 이번 주 목요일로 예정된 예방접종전문위원회의 심의를 거칠 예정"이라며 "다음 주에 접종 재개 일정에 대해 안내해 드리고 차질 없이 접종이 관리되게끔 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백신 유통과정과 접종 기간 등 백신 관리에 있어 문제가 발생하고, 국가예방접종 일정이 지연되게 된 점에 대해 다시 한번 송구하다"며 "과학적 검증 절차를 거쳐 접종이 재개되는 만큼 불안감을 갖지 말아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이날 질병관리청이 지자체를 통해 파악한 상온 노출 의심 백신 접종 사례는 오후 4시 기준 16개 지역 3045건으로 전날보다 49건 늘어났다. 이 중 정부가 수거하기로 한 48만명분의 백신을 접종한 사례는 7개 지역 554건에 달한다.
다만 질병청은 “백신 접종 후 이상 반응이 나타났다고 한 12명 중 수거 대상 물량 접종자는 3명이 있었다"며 "현재는 모두 증상이 없는 것으로 확인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