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수혁 주미대사의 한미동맹 '선택' 발언이 있고 하루만에 미국 국무부가 "(한미동맹을) 극도로(extremely) 자랑스럽게 여긴다”고 밝혔다.
지난 12일(현지시간) 이수혁 주미대사는 주미 대사관 국정감사에서 "한국은 70년 전에 미국을 선택했기 때문에 앞으로도 70년간 미국을 선택하는 게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 대사는 이어 "앞으로도 미국을 사랑할 수 있어야, 우리 국익이 돼야 미국을 선택하는 것"이라며 "그래야만 한미동맹도 특별한 것이다. 사랑하지도 않는데 70년 전에 동맹을 맺었다고 해서 그것을 지켜야 한다는 것은 미국에 대한 모욕"이라고도 말했다.
이 대사는 전에도 비슷한 취지의 발언을 해 구설수에 올랐다. 이 대사는 지난 6월 기자 간담회에서 "우리가 (미중 사이에서) 선택을 강요받는 국가가 아니라 이제는 우리가 선택할 수 있는 국가라는 자부심을 갖는다"고 말했고 또, 지난달 3월에도 "우리는 한미동맹의 미래상을 숙고해봐야 한다. 그 과정에서 미국은 우리 동맹이고 중국은 우리의 가장 큰 역내 무역파트너 중 하나라는 사실이 고려돼야 한다"고 발언했다.
이같은 발언은 함미동맹에서도 국익이 중요하다는 취지로 언급한 것이지만, 안보는 미국, 경제는 중국을 선택하겠고도 해석할 수 있어 한미 관계에 악재가 된다는 반응이다.
이번엔 미국 국무부도 이례적으로 즉각적인 반박을 내놨다.
국무부 대변인실은 13일 “우리는 70년 역사의 동맹 및 미국과 한국, 역내 전체의 평화와 번영을 위해 한미 동맹이 이룩한 모든 것을 극도로 자랑스럽게 여긴다”며 “한미 양국은 동맹으로 지역 내 새 도전들에 맞설 것”이라고 강조했다.
언론의 논평 요청에 응하는 형식이긴 하지만 미국은 지금까지 한미동맹의 성과를 높이 평가하면서 향후에도 지속적 협력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보인 것이다.
한편, 주미대사관도 별도 입장을 내고 이 대사의 국감 발언을 적극 해명했다.
주미대사관은 "한미동맹은 가치동맹이자 포괄적 전략동맹"이라며 "한미동맹은 70년 전 맺어진 과거의 약속뿐만 아니라 양국이 공히 공유하는 가치와 이익에 기초하기에 현재는 물론 앞으로도 유지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이 대사의 발언은 한미동맹이 한미 양국 국익에 부합했고, 앞으로도 그러할 것이기에 강력하게 지속돼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대사관은 화상으로 진행된 국감 도중 이 대사의 시선이 카메라에 고정되지 않은 장면이 계속 나온 이유에 대해 대형 모니터가 고장 나 책상 위에 휴대전화를 설치한 뒤 이를 보며 답변하는 와중에 나온 것이라고 해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