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베를린시가 시내 중심부에 설치된 '평화의 소녀상'을 철거하라는 명령을 철회했다. 일본군 위안부를 상징하는 소녀상에 대해 일본 측의 요구로 철거를 명령했지만, 각계의 반발이 확산되자 일단 보류하고 협의점을 찾기로 한 것이다.
베를린 미테구청은 13일(현지시간) 보도자료를 내고 현지 시민단체 코리아협의회(Korea Verband)가 미테구의 소녀상 철거 명령에 대한 효력 정지 가처분 신청을 법원에 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미테구는 이어 “논란이 있는 ‘평화의 소녀상’이 당분간 그대로 있을 것”이라며 “법원이 (소녀상에 대한) 기본적인 평가를 할 수 있을 때까지 베를린시는 어떠한 추가적인 결정도 내리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앞서 지난 7일 코리아협의회는 미테구청으로부터 14일까지 자진 철거하지 않으면 강제로 소녀상을 뜯어내겠다는 통보를 받았다. 일본이 전방위적인 외교전을 벌여 베를린시 측에 소녀상 철거를 요구했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그러나 소녀상 철거 명령이 독일 내에서 이슈로 떠오리며 각계에서 반발이 확산되자 베를린시가 부담을 느껴 입장을 번복한 것으로 보인다.
슈테판 폰 다쎌 마테구청장은 보도자료를 통해 "우리는 복잡한 논쟁의 모든 당사자 입장과 우리의 입장을 철저히 따지는 데 시간을 사용할 것"이라며 "코리아협의회의 이익과 일본 측 간의 이익이 공정하게 다룰 수 있는 절충안을 마련하고 싶다"고 말했다.
그는 "관련된 모두가 공존할 수 있는 방법으로 기념물을 설계하는 것을 환영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미테구는 시간과 장소, 이유를 불문하고 무력 충돌 과정에서 발생하는 여성에 대한 모든 형태의 성폭력을 규탄한다"고 말했다.
미테구청의 이런 입장 변화로 소녀상은 일단 철거 위기를 넘기게 됐다. 현지 시민단체 및 시민들이 강력히 반발하자 입장에 변화를 준 것으로 보인다.
베를린의 소녀상은 비문을 수정해 존치하는 방향으로 타협이 이뤄질 수 있다는 관측이 조심스럽게 나온다.
미테구는 소녀상의 비문이 한국 측 입장에서 일본을 겨냥하고 있다며 철거 명령의 근거를 들었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의 보편적 가치를 더 강조하기 위해 국제적인 전쟁 여성 피해 문제에 대한 내용이 추가될 수 있다는 전망이다.
현지 시민단체 관계자는 "비문을 추가로 설치하는 방안 등 여러가지가 논의될 수 있다"면서 "전쟁 피해 여성 문제에 대한 교육 확대 등도 논의할 대상"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