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이 북한 비핵화 과정이 한반도 종전선언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폼페이오 장관은 21일(현지시간) 국무부 브리핑에서 지난달 문재인 대통령이 유엔총회 연설에서 언급한 종전선언과 관련, 북한의 완전한 핵 포기 없이 가능하냐는 취지의 질문에 이같이 대답했다.
폼페이오 장관은 "북한 비핵화와 관련한 일련의 문제들에 대한 우리의 입장은 북한 주민의 더 밝은 미래, 북한과 한국 사이의 상태를 바꿀 문서들을 분명히 포함한다"며 "이와 같은 이슈들을 바라보는 미국의 방식에는 전혀 변화가 없다"고 말했다.
이는 현재 정전협정 상태인 한반도 상황을 바꾸는 과정에 종전선언 등이 포함될 것이라는 발언으로 해석된다.
폼페이오 장관은 이날 북한과의 비핵화 협상 재개에 대한 희망을 밝히면서 북한의 협상 테이블 복귀를 촉구했다.
그는 "우리는 (비핵화의 끝에) 세계 평화와 안정, 그리고 북한 주민들을 위한 중요하고 좋은 결과가 있다고 계속해서 믿고 있다"며 "우리는 (협상)테이블로 돌아가 궁극적으로 한국 대통령이 말했던 것으로 이어질 수 있는 그러한 논의를 진지하게 시작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한미 방위비 분담금 협상과 관련해서는 "여전히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오늘은 발표할 것이 없다"고 선을 그었다.
'
한편, 문 대통령은 지난달 유엔총회 연설에서 "한반도에서 전쟁은 완전히, 영구적으로 종식돼야 한다"며 "그 시작은 한반도 종전선언이라고 믿는다"고 발언한 바 있다.
최근 방미한 서훈 청와대 국가안보실장도 지난 15일 "종전선언이 (북한 비핵화 과정에서) 따로 놀 수 없다는 것은 상식"이라며 "이제까지 항상 협상 테이블 위에 올라와 있던 문제였고, 그 부분에 대해 한미 간에 다른 생각이 있을 수가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