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확산과 부양책 기대도 후퇴하면서 뉴욕증시에서 주요증시가 급락했다.
26일(현지 시각)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650.19포인트(2.29%) 급락한 2만7685.38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64.42포인트(1.86%) 내린 3400.97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189.34포인트(1.64%) 하락한 1만1358.94에 장을 마감했다. 다우지수는 지난 9월 초 이후 가장 큰 하루 낙폭을 기록했다.
시장은 미국 내 코로나19 확산 상황과 부양책 협상 등을 주시했다. 미국에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사상 최대치 수준으로 빠르게 늘어나면서 불안이 고조되고 있다.
미국 존스홉킨스대 집계에 따르면 지난 7일 간 평균 신규 확진자 수가 이전 주보다 20% 이상 늘어나면서 사상 최대치로 올랐다. 지난 금요일에는 하루 확진자가 8만명을 넘어서기도 했다.
여기에 마크 메도스 백악관 비서실장이 "팬데믹을 통제하지 못할 것"이라고 언급하면서 우려를 키웠다.
미국 대선 전 경기 부양책 타결 기대도 더 희미해졌다. 낸시 펠로시 하원의장과 메도스 비서실장은 지난 주말 언론 인터뷰에서 부양책 협상이 고착된 상황을 두고 상대방의 책임이라며 공방을 벌였다.
펠로시 의장은 이날도 코로나 검사 전략 등과 관련해 백악관이 민주당의 제안을 받아들이지 않는다고 비난을 이어갔다. 메도스 비서실장은 펠로시 하원의장이 부양책 협상의 '골대'를 멀리 옮겼다고 비난했다.
미국과 중국의 갈등이 또 불거진 점도 불안 요인으로 작용했다. 자오리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정례브리핑에서 록히드마틴과 보잉, 레이시언 등 미국의 3개 방산업체가 제재를 받을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이 대만에 무기 판매를 추진하는 데 대한 보복 차원이다.
여기에 독일의 대표적 소프트웨어 기업인 SAP 주가가 20% 이상 폭락한 점도 시장 전반에 부담을 줬다. SAP가 향후 경영 실적에 대한 부정적인 예상을 내놓은 점이 주가 폭락을 촉발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날 업종별로는 전 업종이 내린 가운데 에너지가 3.47% 하락했고, 산업주도 2.5% 내렸다. 기술주는 2.17% 하락했다.
뉴욕 증시 전문가들은 코로나의 빠른 재확산과 대선 불확실성 등으로 투자 심리가 위축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BTIG의 줄리언 엠마뉴엘 전략가는 "부양책 실망과 바이러스의 재급증, 대선 불확실성의 고조 등으로 증시는 단기적으로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