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일 중인 박지원 국가정보원장이 10일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일본 총리를 예방해 30분 정도 비공식 회담을 하면서 한·일관계 정상화 문제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박 원장은 지난달 16일 스가 총리가 취임한 뒤 처음 만난 한국 정부 고위인사로 이번 방일은 양국 관계 회복에 대한 문재인 대통령의 뜻을 전달하기 위해 이뤄졌다.
박 원장은 총리 관저에서 예방 후 대기 중이던 취재진에게 “스가 총리에게 문재인 대통령의 간곡한 안부와 한·일관계 정상화에 대한 의지를 전달하고 대북 문제 등에 대한 좋은 의견을 들었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의 친서는 없었고, 메시지는 구두 형식으로 전달했다고 설명했다.
친서를 전달하지는 않았지만, 사실상 특사 자격으로 스가 총리를 만났다고 해석할 수 있는 부분이다.
박 원장은 강제동원 문제에 대해 “(스가 총리에게) 충분히 의견을 말씀드렸고, 어떻게 됐든 양국 정상이 해결해야 한다는 데 공감했다”며 “계속 대화를 해나가면 잘 되리라 본다”고 말했다.
박 원장 방일에도 강제동원 문제를 둘러싸고 대립 중인 한·일이 돌파구를 마련할 수 있을지는 불투명하다. 일본 측이 긍정적인 문희상안(한·일 기업 및 국민의 자발적 성금으로 재달 설립 후 피해자에게 위자료·위로금 지급)은 결국 대법원의 판결 정신을 정면으로 훼손하는 것이어서 현실화되면 문재인정부는 위기에 봉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날 회담에서 스가 총리는 “매우 엄혹한 상황에 있는 일·한관계를 건전한 상태로 되돌릴 계기를 한국 측이 만들기를 바란다”는 뜻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또한, 스가 총리와 박 원장은 한·중·일 정상회의, 일본인 납북자 문제에 대해서도 의견을 교환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내일부터는 한일 의원연맹의 한국 측 대표단이 일본을 방문할 예정이다. 강제동원 배상 판결을 받은 일본 기업들의 한국 내 자산 현금화 절차가 서서히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파국은 막아야 한다는 한일 정치권의 공감이 어떤 결과를 낳을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