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매도시 베트남 칸호아성에 수해 복구 긴급 구호금 지원
울산시는 최근 기록적인 홍수로 막대한 피해를 입은 베트남 자매도시 칸호아성의 이재민들을 돕기 위해 긴급 구호금 2,000만 원을 지원한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지원 결정은 2002년 자매도시 협약을 체결한 이후 지속적인 교류를 이어온 칸호아성이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을 외면할 수 없다는 판단에 따라 신속하게 결정됐다. 울산시가...
▲ [자료제공 = 사람인]코로나19 재확산 방지를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로 성인남녀 10명 중 4명은 지인들과 실제로 사이가 멀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구인구직 매칭플랫폼 사람인(대표 김용환)이 성인남녀 3,396명을 대상으로 ‘사회적 거리두기와 인간관계’에 대해 조사한 결과 37%가 사회적 거리두기 이후 친구, 직장동료 등 지인들과 ‘사이가 멀어졌다’고 답했다.
‘비슷하다’는 응답은 62.1%였고, ‘사이가 더욱 가까워졌다’는 답변은 0.9%에 불과했다.
연령대별로도 차이가 있었는데 ‘50대’(49.4%), ‘40대’(43.2%), ‘30대’(42.4%), ‘20대’(26.5%) 순으로 사이가 멀어졌다는 응답이 많았다. 디지털 친화적인 젊은 세대일수록 언택트 소통에 익숙하기 때문에, 거리두기로 인해 인간관계에 영향을 덜 받는 것으로 보여진다.
이처럼 지인들과의 관계가 멀어지며 ‘코로나 블루’가 심화된 응답자도 상당수였다. 지인들과 멀어졌다는 응답자(1,255명) 중 절반 이상(54.3%)은 ‘우울함이 가중됐다’고 답변했다. ‘별로 영향 없다’는 34.3%, ‘오히려 홀가분하다’는 응답도 일부(11.3%) 있었다.
실제로 개인적인 만남의 횟수도 줄어 들었다. 코로나19 사태 이전에는 월 평균 4회 지인을 만났지만, 이후로는 평균 2회의 만남을 한 것으로 조사돼 절반 가량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응답자(3,396명) 중 84.3%는 코로나19 사태 이후 지인과의 만남을 결정하는 기준도 바뀌었다고 답변했다. 이들 중 ‘중요한 일은 직접 만난다’(54.1%)는 답변이 가장 많았고, ‘가능한 한 메신저 등 온라인으로 대체한다’(39.5%)가 뒤를 이었다. ‘아예 만나지 않는다’도 6.4% 있었다.
사회적 거리두기를 계기로 자연스럽게 불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인맥을 줄여나가는 ‘인맥 다이어트’가 ‘의도하지 않아도 저절로 되고 있다’는 응답이 43%로 집계됐다. 이는 대면이 줄어들면서 얕은 인간관계는 유대가 약해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또, 거리두기를 계기로 인맥 다이어트를 실행하거나 계획하고 있다는 응답자도 21.1% 있었다.
이같이 ‘인맥 다이어트’를 시도하려는 응답자(718명)들은 가장 큰 이유로 ‘불필요한 인간관계가 부담스러워서’(52.8%, 복수응답)를 꼽았다. 계속해서 ‘불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줄이고 싶어서’(49.6%), ‘감정 소모를 줄이고 싶어서’(32.2%), ‘남을 신경 쓰지 않고 살고 싶어서’(29%), ‘진짜 친구를 찾기 위해서’(15%), ‘SNS에 원치 않는 사람에게 내 정보를 알리기 싫어서’(10.4%) 등을 들었다.
이들이 정리하고 싶은 인맥 1순위는 ‘최근 1년간 최소한의 소통도 없었던 사람’(49.2%, 복수응답)이였다. ‘앞으로의 교류 가능성이 적은 사람’(49%)이 바로 뒤를 이었고, ‘도움이 되지 않는 사람’(34.5%), ‘얼굴조차 잘 생각나지 않는 사람’(31.9%), ‘정치나 종교색이 강한 사람’(17.3%) 등의 순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