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판데믹(세계적 대유행) 사태로 인해 2020년 도쿄올림픽이 1년 연기됨에 따라 일본이 3조원 가량을 더 부담하게 됐다.
30일 요미우리 신문에 따르면 일본 정부가 도쿄올림픽을 1년 연기하기로 결정하며 산출한 추가 비용은 2천억엔(약 2조1229억원)이다.
경기장 확보 및 취소에 드는 비용, 고용기간 연장에 따른 직원 인건비, 입장권 환불 시스템 도입 경비 등이 포함됐다.
여기에 코로나19 대책비용으로 1천억엔(1조614억원)이 추가로 들어갈 것으로 봤다.
코로나19 대책비용은 1만명을 넘을 것으로 예상되는 올림픽 출전 선수들의 코로나19 검사와 의심환자에 대응하기 위해 외부병동 신설, 의료종사자 확보와 경기장 소독, 대회조직위 직원 및 자원봉사자의 감염방지비 등으로 사용될 예정이다.
즉, 일본은 도쿄올림픽이 1년 연기됨에 따라 총 3000억엔의 추가비용이 발생하고, 도쿄올림픽 개최비용도 1조6500억엔(약 17조5136억)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작년 12월 대회조직위가 발표한 도쿄올림픽 개최비용은 경기장 건설비와 선수단 수송 및 경비비용 등을 포함해 총 1조3500억엔이었다.
이처럼 올림픽 개최에 들어가는 예산이 늘어남에 따라 도쿄올림픽이 '적자 올림픽'이 될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
당초 조직위는 분담액 6030억엔을 도쿄올림픽 예상 수입 6300억엔으로 충당할 계획이었다. 대회조직위 수입의 80%는 기업들의 올림픽 후원비용과 경기장 입장권 판매 수익인데 상당수 스폰서 기업의 후원계약이 올 연말로 종료된다.
조직위가 연장 협상을 진행하고 있지만 코로나19 여파로 이전 수준의 후원금을 확보할 수 있을 지 불투명하다는 분석이다. 코로나19 대책으로 경기장 관객수를 줄일 경우 입장권 판매수입도 기대한 만큼 모이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한편, 당장 올림픽 개최도 불투명한 가운데 일본 정부는 전전긍긍하는 모양대사. 코로나19로 인한 경제 침체와 국가 이미지 하락, 정권에 대한 지지율 하락을 성공적인 올릭픽 개최로 이겨내고 싶었으나, 이마저 앞날이 불투명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