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의 수도 베를린시 시내 중심부에 설치된 '평화의 소녀상'이 당장 철거를 피할 수 있게 됐다. 또한 내년 9월 말까지 존치되며 영구 설치를 위한 논의도 시작된다.
베를린시 미테구의회는 1일(현지시간) 전체회의를 열고 평화의 소녀상 영구설치 결의안을 의결했다.
프랑크 베르테르만 의장(녹색당)은 "성폭력 희생자를 추모하는 평화의 소녀상 보존을 위한 결의안이 다수결로 의결됐다"고 말했다. 표결에는 구의원 29명이 참여해, 24명이 찬성했고 5명이 반대했다.
또한 녹생당과 좌파당이 공동으로 제출한 결의안도 채택됐다. 결의안에는 평화의 소녀상이 미테구에 계속 머물 방안을 구의회의 참여하에 마련하는 내용을 담았다.
결의안을 제출한 좌파당 틸로 우르히스 구의원은 "평화의 소녀상은 2차 세계대전 중 한국 여성에 대한 일본군의 성폭력이라는 구체적 역사적 사실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며 "전쟁이나 군사 분쟁에서 성폭력은 일회적인 사안이 아니고 구조적인 문제로, 근본적으로 막아야 한다"면서 "평화의 소녀상은 바로 그 상징"이라고 강조했다.
또 "우리는 소녀상의 영구설치를 위한 논의 과정에서 이런 구조적 문제가 부각될 수 있기를 바란다"면서 "평화의 소녀상이 우리 구에 존엄성을 지킬 수 있는 자리를 찾을 수 있기를 바라며 여성에 대한 성폭력에 관한 논의도 이뤄지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앞서 미테구청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를 기리는 소녀상이 국제적인 전쟁 피해 여성 의 인권 문제라는 점을 인정해 지난해 7월 설치를 허가했고, 소녀상은 지난 9월 말 미테 지역 거리에 세워졌다.
그러나 설치 이후 일본 측이 독일 정부와 베를린 주정부에 압박을 가했고, 미테구청은 지난 10월 7일 철거 명령을 내렸다.
이에 베를린 시민사회가 반발하고 소녀상 설치를 주관한 현지 시민단체인 코리아협의회(Korea Verband)가 행정법원에 철거 명령 효력정지 가처분신청을 제출하자 미테구가 철거 명령을 보류하며 한발 물러섰다. 이후 미테구의회는 지난달 7일 철거명령 철회 결의안을 채택한 바 있다.
코리아협의회 한정화 대표는 "영구설치를 위한 논의가 시작된다는 것은 베를린에 소녀상을 영원히 존속시키기 위한 큰 발걸음을 내디딘 것"이라며 "소녀상을 계기로 그동안 전범국가인 독일에서 은폐돼 왔던 전쟁 중 여성에 대한 성폭력에 대한 토론을 시작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역사적으로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