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 사이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1천명을 넘기며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를 격상하라는 목소리가 높은 가운데, 정세균 국무총리는 "3단계는 우리가 선택할 수 있는 최후의 보루"라며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정 총리는 14일 서울시청에서 주재한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선제적으로 거리두기를 3단계로 격상하자는 의견도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정부도 각 부처 및 지자체, 전문가들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고 있고 필요하다고 판단하면 과감한 결정도 주저하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다만 그는 "(3단계 격상은) 그 효과에 대한 확신과 사회적 공감대가 있어야 하기 때문에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며 “우선은 지금 시행하고 있는 강화된 방역수칙을 온 국민이 제대로 실천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니 국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방역’을 재차 강조드린다”고 당부했다.
정 총리는 이어 "현재와 같은 확산세가 멈추지 않는다면 아무리 병상을 확보하더라도 우리 의료체계가 이를 감당하기 어려워질 것”이라고 우려하는 한편 "코로나가 장기화하면서 많은 국민과 의료진이 지쳤음을 알고 있지만 확실한 백신과 치료제가 나오기까지 마지막 고비를 넘지 못해 주저앉을 수는 없다. 어느 때보다 철저한 거리두기와 방역수칙 실천으로 위기를 넘어야겠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최근 많은 확진 사례들에서 한두 사람의 방심과 무책임한 행동이 가족과 친구, 동료를 통해 지역사회까지 엄청난 피해를 초래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며 “모두의 안전을 위협하는 행위에 대해서는 무관용 원칙에 따라 법에서 정한 책임을 반드시 묻겠다”고 경고했다. 아울러 “K-방역의 고비가 될 새로운 한 주를 시작하니 우리 모두가 책임의식을 갖고 일상에서 거리두기와 마스크 쓰기 등 방역수칙을 보다 철저히 지킬 것을 함께 다짐하자”고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