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가장 많이 발생한 미국에서 19일(현지시간) 누적 확진자 2400만명을 넘겼다. 누적 사망자도 40만명을 넘어섰다.
세계 실시간 통계사이트 월드오미터에 따르면 19 미국의 누적 확진자는 2475만7235명이며 누적 사망자는 41만720명이다. 지난해 1월 20일 미국에서 첫 코로나19 확진자가 나온 지 1년만에 미국 전체 인구 14명 중 1명이 코로나19에 감염된 적이 있다는 뜻이다.
미국은 전 세계에서 코로나19 감염자와 사망자가 가장 많이 나온 나라다. 미국의 감염자는 글로벌 확진자(9,645만1,351명)의 25.6%, 사망자는 전 세계(206만976명)의 20%에 달한다.
문제는 누적 확진자 2400만명 중 60% 이상이 지난해 11월 3일 미국 대선 이후에 발생했다는 것이다. 감염 확산세가 꺾이지 않고 더 거세지고 있다는 반증이자 미국의 코로나19 위기 대처 실패를 나타내는 지표다.
누적 사망자 수를 40만여명으로 집계됐다. 누적 사망자 40만명은 제1차 세계대전과 한국전쟁·베트남전쟁에서 전사한 미국인을 전부 합친 것보다 많은 숫자다. 또 제2차 세계대전에서 희생된 미국인 수와도 거의 맞먹는 수치다.
이는 또 미국인 900명 중 1명꼴(0.12%)로 코로나19로 인해 목숨을 잃었다는 뜻이기도 하다.
첫 사망자가 발생하고 10만명이 넘을때까지 걸린 시간이 넉 달이었던 것에 반해 30만명에서 40만명으로 10만명이 증가하는데 한 달 정도 밖에 걸리지 않아 사망률도 빠르게 올라가고 있는 모습이다.
코로나19 추적 프로젝트는 18일 기준 미국 전역에서 코로나19로 입원한 환자 수를 12만3848명으로 집계했다. 이는 역대 최대치였던 지난 6일의 13만2474명보다 9000명가량 줄어든 것이지만 조지아주에서는 한 병원이 환자들을 복도와 앰뷸런스에서 치료하는 등 여전히 병원과 의료진이 엄청난 압박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미국에서 변이 바이러스가 확인되며 더 많은 확진자가 발생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미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따르면 미국에서는 지금까지 20개 주에서 120여건의 변이 바이러스 감염자가 확인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