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1.0%를 기록하며 IMF 외환위기를 겪었던 1998년(-5.1%)이후 처음으로 역성장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이 26일 발표한 '2020년 4·4분기 및 연간 실질 국내총생산(GDP)' 속보치에 따르면 지난해 연간 경제성장률은 -1.0%로 집계됐다. 지난해 1분기(-1.3%)와 2분기(-3.2%)에 연속해서 마이너스를 기록한 뒤 3분기(2.1%)부터 플러스로 전환됐다. 연간 성장률은 전년 대비 1.0% 감소했다.
지난해 세계 경제성장률이 -4%대로 주저앉을 것으로 관측되고 있는 것에 비하면 선방한 것이다. 하지만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때인 1998년(-5.1%) 이후 22년 만에 처음으로 역성장 충격을 피하진 못했다.
코로나19 충격으로 수출과 민간소비가 감소하면서 성장률을 끌어내렸다. 민간소비는 5.0% 감소해 1998년(-11.9%)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수출은 전년대비 2.5% 감소해 1989년(-3.7%) 이후 가장 저조한 수준을 보였다. 수입도 11년 만에 가장 적은 3.8%로 감소했다.
정부는 재정을 풀어 역성장 충격을 방어했다. 정부소비는 5.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투자는 지난해 0.1% 줄었으나 설비투자는 6.8% 증가했다. 민간의 성장 기여도는 -2.0%포인트, 정부의 성장 기여도는 1.0%포인트였다.
지난해 국내에서 생산활동을 통해 발생한 소득의 실질 구매력을 나타내는 지표인 실질 국내총소득(GDI)은 전년대비 0.3% 감소했다. 이는 지난 2019년(-0.3%) 이어 2년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