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매도시 베트남 칸호아성에 수해 복구 긴급 구호금 지원
울산시는 최근 기록적인 홍수로 막대한 피해를 입은 베트남 자매도시 칸호아성의 이재민들을 돕기 위해 긴급 구호금 2,000만 원을 지원한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지원 결정은 2002년 자매도시 협약을 체결한 이후 지속적인 교류를 이어온 칸호아성이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을 외면할 수 없다는 판단에 따라 신속하게 결정됐다. 울산시가...
▲ [이미지 = 픽사베이]정부가 국민 건강 증진을 위해 담배 가격과 소주 등 주류 가격 인상을 추진하고 있다.
27일 보건복지부는 10년 이내에 담뱃값을 세계보건기구(WHO) 기준으로 인상한다는 내용이 담긴 ‘제5차 국민건강 증진 종합계획(2021~2030년)’을 발표했다.
종합계획에 따르면 현재 4달러 수준의 담배값을 10년 안에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7달러·약 7700원) 수준으로 인상해 국민건강증진기금 부담금 수입 규모를 늘릴 계획이다.
복지부는 2015년 담뱃값 인상을 했지만,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담뱃값(7.36달러, 약 8130원)보다 낮다”며 “전자 담배 기기도 담배로 정의하고 건강증진 부담금을 물리는 방안 등을 검토할 것”이라고 했다.
복지부는 “2030년까지 성인 남성 흡연율을 25%, 여성 흡연률은 4.0%까지 줄이는 게 목표”라고 했다. 2018년 기준 성인 남성과 여성의 흡연율은 각각 36.7%, 7.5%다.
다만 시점이나 인상폭 정도에 대해서는 더 논의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복지부는 또 주류 가격 인상도 추진한다. 성인 남성과 여성 가운데 고위험군의 음주율을 2018년 20.8%, 8.4%에서 2030년 17.8%, 7.3%로 낮추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과도한 음주 문화·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건강증진부담금을 부과하는 등 가격정책 방안을 검토할 예정이다.
복지부는 “술 소비 감소를 유도하기 위해 담배처럼 술도 건강증진 부담금을 부과하는 정책을 검토 중”이라며 “여성 등 음주 취약군에 대한 고위험 음주 예방 교육도 강화하겠다”고 했다.
공공장소 음주 규제 입법을 강화하고, 주류광고 금지 시간대(오전 7시~오후 22시)를 적용하는 매체 확대, 주류 용기에 광고모델을 부착하지 못하도록 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이 밖에 신체활동 활성화를 위한 건강친화기업인증제, 건강인센티브제 도입을 추진하기로 했다.
정신건강 부문에서는 우선 자살예방 고위험군을 발굴해 관리하고 상담 치료비 지원을 강화하는 등의 정책을 추진해 2030년 인구 10만명 당 자살사망자를 17명 정도로 낮추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치매 안심센터의 환자 등록·관리율을 2019년 기준 51.5%에서 2030년 82.0%까지 높이고 알코올 사용장애 정신건강 서비스 이용률도 2016년 12.1%에서 2030년 25.0%로 끌어올리겠다는 내용도 계획에 포함됐다.
복지부는 이로써 2018년 기준 70.4세인 건강수명을 2030년까지 73.3세로 연장한다는 목표를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