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매도시 베트남 칸호아성에 수해 복구 긴급 구호금 지원
울산시는 최근 기록적인 홍수로 막대한 피해를 입은 베트남 자매도시 칸호아성의 이재민들을 돕기 위해 긴급 구호금 2,000만 원을 지원한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지원 결정은 2002년 자매도시 협약을 체결한 이후 지속적인 교류를 이어온 칸호아성이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을 외면할 수 없다는 판단에 따라 신속하게 결정됐다. 울산시가...
▲ [사진출처 = KBS뉴스 캡처]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세가 줄어들지 않고 있는 가운데, 오늘부터 올해 새학기가 시작되며 학생들이 등교를 시작된다.
2일 교육계에 따르면 이날 전국의 유·초·중·고에서는 2021학년도 신학기 첫 등교 수업을 한다.
지난해까진 고3만 매일 등교가 가능했지만 올해는 거리두기 2단계까지 유치원생과 초1~2학년도 매일 등교를 할 수 있다. 온라인 수업이 계속되면서 학력 격차는 물론 돌봄 공백이 문제가 된다는 여론때문이다. 대입을 앞둔 고3도 작년과 마찬가지로 매일 등교 대상이다.
특수학교나 소규모 학교는 거리두기 2.5단계까지 학교가 등교수업 여부를 자율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소규모 학교 기준은 작년보다 느슨해져 '전교생이 300명 이하' 또는 '300명 초과·400명 이하'이면서 학급당 학생 수 25명 이하인 학교까지 포함됐다.
현재 학교 밀집도 기준은 1단계와 1.5단계는 3분의 2까지, 2단계 3분의 1~3분의 2(고교는 3분의 2), 2.5단계는 3분의 1로 제한되며, 3단계에서는 전면 원격수업으로 전환된다.
수도권 거리두기는 현재 2단계로 유·초·중·고 밀집도는 원칙적으로 3분의 1이지만 학부모들의 등교 확대 요구를 반영해 상당수 학교가 3분의 2 등교 방침을 정했다.
원격수업이 장기화하면서 온라인 수행평가가 초‧중‧고 전학년 전과목으로 확대된다. 이에 따라 과목에 관계없이 학생들이 제출한 동영상을 교사가 평가하고 학교생활기록부(학생부)에 기재할 수 있다.
또 7일 안에만 수강 인정해줬던 원격 수업 출석은 이제 반드시 3일 안에 수강해야 한다. 교육당국은 올해도 학부모·학생의 등교·원격수업 선택권을 인정하지 않기로 했다. 그 대신 가정학습 명목으로 교외체험학습을 신청하면 출석을 인정받을 수 있다.
한편, 새학기 개학 이후 2주간은 특별 모니터링 기간으로 운영돼 학교 방역에 대한 중점 관리가 이뤄지게 된다.
학생·교직원 본인 뿐만 아니라 동거인이 의심증상으로 코로나19 진단검사를 받은 경우에도 결과가 나오기 전까지 등교와 출근이 중단된다.
방역 전담 지원인력도 약 5만4000명이 각급 학교에 배치된다.
또 마스크와 소독제 등 방역 물품도 마스크는 학생 1인당 11장, 손소독제는 학급당 12통, 알코올 티슈는 학급당 8개, 체온계는 학급당 1개 이상 등이 구비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