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서 아스트라제네카(AZ)의 코로나19 백신을 접종받은 20대 여성이 혈전증 진단을 받았다. 국내 3번째 사례로 전 세계에서 AZ 코로나19 백신 부작용으로 접종을 중단하는 것과 맞물려 '백신 불안감'이 거세지고 있다.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이하 추진단)은 7일 "지난 5일 신고된 중증사례 중 1건이 혈전증 진단을 받아 조사 중"이라고 밝혔다.
이 여성은 지난달 17일 백신을 접종했으며, 이후 12일만인 같은 달 29일 증상이 발생해 당국에 신고했다. 추진단은 현재 이 여성이 평소 앓아 온 지병(기저질환)이 있는지에 대해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앞서 국내에선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접종받은 뒤 드물게 발생하는 '뇌정맥동혈전증'(CVST) 진단을 받은 20대 사례가 보고된 바 있다.
이보다 앞서 백신 접종 후 사망한 사람에게서 혈전이 발견된 사례도 있다.
사망자는 요양병원에 입원해 있던 60대 환자로, 부검에서 혈전 소견을 보였으나 당국은 백신과 무관한 것으로 결론 내렸다.
한편, 유럽의약품청(EMA)에서도 AZ 백신과 매우 드물게 나타나는 특이 혈전증(뇌정맥동혈전증·CVST)의 연관성을 인정하는 발언을 하며 국내 접종 계획에도 영향을 미칠 지 관심이 쏠린다.
전문가들 사이에선 “접종 했을 때 얻을 수 있는 이득을 고려했을 때 현재 예방접종 계획을 유지해야 한다”는 입장과 “득실에 따라 접종연령 제한을 검토해 볼 수 있다” 등 대응 방안을 둘러싸고 온도 차가 있는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