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지난해 말 미국의 글로벌 제약회사 모더나의 CEO와 직접 통화한 뒤 확보한 4000만 회분 코로나19 백신의 국내 도입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13일(현지시간) 미국 모더나는 자사 홈페이지에 백신 공급 계획을 공개했다. 이에 따르면 모더나의 코로나19 백신은 5월 말부터 오는 7월까지 미국에 우선적으로 2억 회분 공급된다.
다만 미국 외 지역의 공급에 대해서는 "1분기 정도 늦춘다"는 뜻을 전해 백신 확보 경쟁을 벌이고 있는 전 세계 국가들의 불만을 사고 있다. 더욱이 존슨앤드존슨(J&J)사의 얀센 백신이 '희구 혈전증'을 유발한다는 연구결과도 나와 당장 도입이 불투명한 상태다.
이에 따라 한국도 백신 수급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한국은 현재 정부 주도로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을 접종하고 있으나, 이마저도 1차 접종을 100만명 남짓 완료된 것으로 알려졌다. 거기다 '4차 대유행'까지 겹친 상황에서 기대를 걸고 있던 모더나 백신마저 언제 도입할 수 있을지 명확하지 않아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모더나가 지난 연말부터 올해 4월 12일까지 공급한 전체 백신 약 1억3200만 회분 중 미국 밖으로 보낸 것은 약 1500만 회분에 불과하다. 한국은 연말에 모더나와 계약했지만, 유럽연합(EU), 영국, 일본, 캐나다, 스위스, 카타르 등이 먼저 계약한 상황이라 순서가 밀릴 가능성도 있다.
정부는 당초 11월까지 집단 면역을 이룬다는 계획이었다. 그러나 아스트제네카 백신의 혈전 부작용 논란에 이어 모더나의 공급도 불확실해지며 11월 집단 면역 달성이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