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에서 진행하는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 접종 후 사지마비 등 심각한 이상반응을 보여 병원치료중인 간호조무사의 남편이 청와대 국민청원 글을 통해 근황과 정부에 대한 불신을 토로했다.
지난 20일 국민청원 게시판에는 ‘AZ 접종 후 사지 마비가 온 간호조무사의 남편입니다’라는 제목의 글을 게시했다.
자신을 경기도의 한 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조무사 A씨의 남편이라고 주장한 글쓴이는 "망설이고 또 망설였다. 우리 가족만의 불행이라 생각했다. 저만 참으면 코로나19가 한여름 소나기처럼 스쳐 지나갈 것이라 생각했다"고 운을 뗐다.
그는 "의료인인 아내는 우선 접종 대상자라 백신 접종을 거부할 수도, 백신을 선택할 권리도 없었다. AZ 백신 접종을 하고 나타난 이상 증세에도 정부의 말만 믿고 괜찮아지겠지 하며 진통제를 먹고 일했다"며 "호전되기를 기다렸지만 아내는 백신 접종 19일 만인 지난 달 31일 사지가 마비돼 병원에 입원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금 와서 보니 입원 3~4일 전부터 전조증상이 있었지만 정부의 부작용 안내 부족으로 알아채지 못했다"고 분통을 터트렸다.
그는 아내는 ‘급성 파종성 뇌척수염’이라는 병명을 진단받았다. 6개월에서 1년 정도 치료와 재활을 해야 할 수 있고 장애가 생길 수 있다는 담당 의사의 말을 듣고는 하늘이 무너지는 줄 알았다”며 “치료에 신경 쓰기도 벅찬데 치료비와 간병비라는 현실적인 문제가 발생했다. 일주일에 400만원씩 나오는 비용을 서민이 어떻게 감당할 수 있겠느냐”며 설명했다.
입원한 뒤 보건소, 질병청 등에 이를 문의했지만 "치료가 모두 끝난 다음 치료비와 간병비를 일괄 청구하라"는 답변만 돌아왔다고 적었다.
그는 "질병청에서는 조사만 해가고 이후로는 깜깜무소식"이라며 “누구 하나 피해자를 안심시켜주는 곳은 없었다. 질병청에 전화하면 시청 민원실로, 시청 민원실에 전화하면 구청 보건소에 핑퐁을 한다. 그걸 일주일간 반복했다”고 분노했다.
그는 ‘해외 사례는 있지만 인과성은 인정되지 않는다’는 보건당국 발표에 억장이 무너졌다고 고백하며 “의학자들이 풀어내지 못하는 현상을 일반 국민이 어떻게 입증해야 하느냐”고 반문했다. 이어 “근로복지공단에 갔는데 그곳에 ‘코로나 19 확진 피해자들은 산재신청을 해주세요’라는 포스터가 있더라”며 “(그걸 보고) ‘아, 백신 맞지 말고 코로나에 걸리는 게 더 현명했겠구나’라는 생각을 했다”고 덧붙였다.
그는 산재신청을 위해 방문한 근로복지공단에서 또 한 번 허탈감을 느껴야 했다는 일화도 전했다. A씨는 “접수창구 뒤쪽에 있던 고위급 직원의 ‘안타까운 일이지만 백신 후유증으로는 산재 접수가 안 된다. 그리고 이 시국에 인과관계를 인정해 줄 의사가 어디 있겠느냐’는 단호한 말은 제 가슴을 갈기갈기 찢어놨다”며 “‘백신 후유증 산재 접수는 이번이 처음이니 한번 알아보고 연락드리겠습니다’라고만 말했어도 그렇게 화가 나지는 않았을 것”이라고 격분했다.
그러면서 “선택권도 없이 국가의 명령에 따라 백신을 맞았을 뿐인데, 한순간에 건강을 잃고 막대한 치료비라는 현실적인 문제까지 떠안게 됐다”며 “그런데도 정부 기관들은 ‘(부작용은) 천만 명 중 세 명이니 접종하는 게 사회적으로 이익’이라는 식의 말로 나 몰라라 하고 있다. 백신 피해는 국민 누구나 자유로울 수 없는 문제”라고 꼬집었다.
또 “대통령님에 대한 존경이 있었기에 ‘안전하다’ ‘부작용은 정부가 책임진다’는 말씀을 믿었다. 인권변호사로서 국민의 안전과 생명은 최소한 지켜줄 것이라 확신했기 때문”이라며 “그 배신감은 이루 말할 수 없다. 과연 국가가 있기는 한 것이냐”고 분통을 터뜨렸다. A씨의 청원은 21일 자정 기준 2만3255명이 동의했다.
한편 A씨는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지금 백신 접종받으면 바보다”라며 “지난 1월 아내가 경기도 지역 산부인과에 입사할 당시 건강진단서도 냈는데 건강에 이상이 없는 상태였다”고 말했다.
A씨는“부작용이 0%인 백신은 없다. 러시안룰렛처럼 누군가는 불행에 당첨될 수밖에 없다”며 “대책도 마련하지 않고 접종 독려만 밀어붙이는 게 문제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