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은 23일(현지시간) 한반도 비핵화를 위한 외교적 해법을 재차 강조하며 북한의 반응을 기다리고 있다고 밝혔다.
블링컨 장관은 이날 ABC시사대담 프로 ‘디스위크(This Week)’에 출연해 조 바이든 대통령이 결정한 것은 "한반도의 완전한(total) 비핵화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최선의 기회가 북한과 외교적으로 관여하는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또 이는 비핵화 목표를 향한 진전을 추구하는 신중하고 조정된 접근법이라며 "일거에 해결되는 일괄타결이 있을 것이라고는 생각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바이든 행정부의 새 대북정책은 분명히 조정된 외교로서 북한으로부터 분명한 조처가 있어야 한다며 "우리는 이를 제시했다"고 한 뒤 "우리는 북한이 실제로 관여를 하고자 하는지 기다리며 지켜보고 있다. 공은 북한 코트에 있다"고 밝혔다.
바이든 행정부는 지난달 말 새 대북정책 검토를 완료한 뒤 북한에 이를 설명하고 전달하기 위해 접촉을 시도했고 북측으로부터 접수했다는 사실을 통보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블링컨 장관은 지난 3일에도 미국의 새 대북 정책이 외교에 초점을 맞춘 것으로서 북한이 이 기회를 잡길 희망한다면서 수일, 수개월 간 북한의 말과 행동을 지켜보겠다고 밝혔다.
블링컨 장관은 "북한이 유엔에 의해 분명히 금지된 행동에 계속 관여해 제재가 유지되고 있지만 우리는 분명 이를 외교적으로 추구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는 외교를 할 준비가 돼 있다"고 재차 언급한 뒤 "문제는 북한이 그럴 준비가 돼 있느냐 하는 점이라고 말했다.
블링컨 장관은 이날 '미국이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받아들여야 하느냐'는 질문에는 "우리는 그러지 않고 있고 그래서도 안 된다"고 대답했다.
그는 북핵이 어려운 문제라면서 이전 미 행정부가 해결하려 노력했지만 아무도 성공하지 못했고, 핵 프로그램은 시간이 지나면서 더 발전하고 위험해졌다고 말했다.
또 '전무 대 전무', '전부 대 전부'를 포함해 과거 행정부의 서로 다른 접근법을 검토했지만 어느 것도 효과가 없었다고 지적했다. 바이든 행정부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일괄타결'이나 버락 오바마 행정부의 '전략적 인내' 접근법에서 벗어나겠다고 밝힌 상황이다.
그는 "우리는 광범위한 검토에 관여했다"며 과거 행정부의 접근법 검토, 한국과 일본을 비롯한 동맹 및 파트너와 긴밀한 협의, 자신의 지난 3월 한일 순방, 최근 문재인 대통령의 방미를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