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의 한 보건소에서 근무하던 간호직 공무원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관련 과도한 업무를 호소하며 극단적인 선택을 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이 간호직 공무원의 카카오톡 메신저 내요이 공개돼 안타까움을 사고 있다.
전국공무원노조 부산지역본부, 유족은 26일 간호직 공무원인 A씨(33)가 극단적인 선택을 하기 하루 전인 지난 22일부터 동료에게 힘든 심정을 전하는 카톡 내용을 공개했다.
카톡 내용은 대부분 "죄송하다", "실망시키지 않겠다"등의 내용이었다.
유족은 이씨가 해당 보건소로부터 업무를 과다하게 부여받는 등 격무에 시달리다 우울증 증세로 극단적인 선택을 하기에 이르렀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씨는 지난 18일부터 확진자가 나와 코호트 격리에 들어간 부산 한 병원을 관리했다.
유족은 당초 이씨가 해당 병원에 대한 관리 담당이 아니었으나 상부 지시 등 압박 때문에 떠맡은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했다.
A씨 유족은 “고인이 동료들과 대화를 나눈 카카오톡 단체 채팅방을 보면, 보건소 직원들은 차례를 정해 순서대로 코호트 병원을 담당한다”며 “그러나 고인이 일을 잘한다는 이유로 순서가 아닌데도 업무를 떠맡은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고인이 해당 병원 담당자라는 이유로 코호트 병원 담당을 맡는 과정에서 심적으로 굉장히 힘들어했다”며 “업무 가중으로 인한 급성 우울증으로 극단적 선택을 했다”고 업무상 재해라고 주장하고 있다.
실제 22일 오전 동료 2명과 나눈 카톡 대화에서 A씨는 “어제 오전에 (코호트 격리된) A병원을 다녀와서 넘 마음에 부담이 되서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다”며 “정말 멘붕이 와서 B님과 의논했고, 저는 주도적으로 현장에서 대응하기에 자신이 없다고 말씀드렸더니 몇가지 방안이 있었는데 결론적으로 C선생님과 D주무님이 같이 맡아 하기로 했다”고 적었다.
업무에 대해 많은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보인다.
이후 A씨는 포털에 우울 11층 아파트, 뇌출혈, 두통, 최연소 7급 공무원 극단적 선택 등을 검색했고, 끝나 극단적인 선택을 했다.
부산공무원노조는 오는 6월 1일 진상조사단을 꾸리고 A씨의 사망 원인을 조사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