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매도시 베트남 칸호아성에 수해 복구 긴급 구호금 지원
울산시는 최근 기록적인 홍수로 막대한 피해를 입은 베트남 자매도시 칸호아성의 이재민들을 돕기 위해 긴급 구호금 2,000만 원을 지원한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지원 결정은 2002년 자매도시 협약을 체결한 이후 지속적인 교류를 이어온 칸호아성이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을 외면할 수 없다는 판단에 따라 신속하게 결정됐다. 울산시가...
▲ [SHUUD.mn=뉴스21 통신.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세계보건기구(WHO)가 앞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명칭에 지역 명을 붙이지 않기로 했다. 지역에 대한 낙인을 찍어 차별을 유발한다는 것이다.
31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 등에 따르면 WHO는 그간 국가명으로 불렀던 코로나19 변이바이러스에 대해 그리스 알파벳을 사용한 새로운 명칭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영국에서 처음보고 돼 '영국 변이 바이러스'로 불리던 변이(B.1.1.7)는 '알파(α)'로,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처음 발견돼 '남아공 변이 바이러스'로 불리던 (B.1.351)는 '베타(β)'로 바뀌게 된다.
또 브라질에서 처음 보고된 변이(P.1)는 '감마(γ)'로, 인도에서 처음 발견된 변이(B.1.617.2)는 '델타(δ)'로 이름을 붙였다.
이들은 모두 '우려 변이'(Variants of Concern) 단계에 있는 변이로, 변이 바이러스의 전파나 치명률이 심각해지고 현행 치료법이나 백신에 대한 저항력이 커져 초기 조사가 진행 중일 때 이같이 분류된다.
아울러 WHO는 이보다 아래 단계에 있는 '관심 변이'(Variants of Interest) 바이러스 6종에 대해서도 각각 그리스 알파벳 이름을 부여했다.
WHO는 "사람들은 종종 변이가 감지된 장소에 따라 그것을 부르는 것에 의지하는데, 이것은 낙인을 찍거나 차별을 유발한다"며 이를 피하기 위해 "WHO는 국가 당국이나 언론 매체 등이 새로운 명칭(label)을 채택하는 것을 권한다"고 밝혔다.
WHO는 코로나19 기원으로 중국 우한이 알려지며 아시아계 증오 범죄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점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새로운 이름이 현재의 과학적 명칭을 대체하지는 않는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