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22일 성 김 미국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를 만나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의 대북정책에 공감을 표하고, 한국과 긴밀한 공조로 북한의 대화 재개를 위해 노력해줄 것을 당부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2시30분 청와대 본관 접견실에서 김 대표를 접견하고 "대회와 외교르 통해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점진적으로 풀어가겠다는 바이든 정부의 방식이 적절하다"며 이같이 밝혔다고 박경미 청와대 대변인이 서면브리핑을 통해 전했다.
박 대변인에 따르면, 문 대통령은 바이든 대통령의 공개 임명 후 방한한 김 대표를 환영하면서 "지난 5월 한미 정상회담은 한미동맹의 굳건함을 확인한 최고의 회담이었다"며 대화를 시작했다.
이어 "G7에서 바이든 대통령의 리더십이 돋보였고, '미국이 돌아온 것'을 나를 포함하여 세계 지도자들이 호평했다"고도 전했다.
이에 김 대표는 문 대통령의 환대에 사의를 표명하고, 성공적인 한미 정상회담에 대한 축하 인사를 나눴다. 이후 김 대표는 "G7에서 바이든 대통령과 존슨 총리 등이 문 대통령을 가리키는 사진은 한국의 높아진 위상을 보여줬다"고 평가했다.
문 대통령은 "남은 임기 동안 남북관계와 북미관계를 일정 궤도에 올려놓기 위해 가능한 역할을 다할 것"이라며 "북미관계 개선에 성공을 거두어,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 정착을 이룰 수 있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접견에는 미측에선 김 대표와 함께 로버트 랩슨 주한 미국대사 대리, 정 박 미국 대북특별부대표 등이 참석했다.
청와대에서는 서훈 국가안보실장, 김형진 국가안보실 제2차장 등이 자리를 함께 했다.